고양특례시가 전국 최초로 지하보도에 수직형 딸기 스마트팜을 조성하고, 농업혁신 전략으로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자동화 온실과 도심·농촌형 스마트팜 보급 확대에 집중한다.
21일 시에 따르면 민간기업 ㈜착한농부의 전액 투자(5억원)로 마두 지하보도에 238㎡ 규모의 스마트팜 시설 설치를 마치고 지난 15일에 딸기 모종 3420주를 심었다.
이 스마트팜은 이용률이 줄어든 도로시설 지하보도를 활용한 전국 첫 사례로, 적법성과 안전성 등에 관한 법령 해석과 현장 조건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지난 3월 도로와 공원에 대한 점용허가를 완료했다. 이후 관계부서 간 긴밀한 협의를 거쳐 노력한 끝에 공공 지하보도 스마트팜의 선례를 만들었다.

마두 지하보도 스마트팜은 밀폐형으로 설치돼 있으며, 시민들이 투명 창으로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게 시공됐다. 스마트팜은 딸기 생육에 최적화된 광원을 적용해 7~8월경 딸기 수확시기에 맞춰 가동하고 있으며 고양형 스마트팜 여름 딸기를 브랜드화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백석 지하보도에도 400㎡ 규모의 복합형 스마트팜을 조성한다. 이 사업은 경기도 주관 '사회혁신형 스마트팜 구축' 공모사업에 선정돼 추진하며 사업수행자는 농업법인 팜팜이다. 사업비로 도비·민간자본 3억6000만원을 확보했으며 2회 추경에 시비 수립 후 본격 추진될 예정이다.
백석 지하보도에 조성될 스마트팜은 딸기 재배 공간, 체험교육장, 카페 등으로 구상 중이다. 이를 기반으로 청년 및 취약계층에게 스마트팜 기술 교육과 일자리를 제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딸기 수확과 스마트팜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해 지역 주민과 관광객들의 참여를 유도할 계획이다.
시는 농촌지역의 스마트팜 보급을 추진해 왔다. 지난 2020년부터 지금까지 총 120개 농가를 대상으로 ICT(정보통신기술) 기반 자동화 온실과 수직 스마트팜 시설 보급을 마쳤다.
올해도 자동화온실 농가 18개소에 총 5억5000만원을 투입해 스마트팜 시설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유러피안 채소 등을 중심으로 재배하는 수직농업은 생산성과 품질 모든 면에서 우수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시는 중장기적인 목표로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지정하는 스마트농업 육성지구도 준비 중이다. 일산 농촌지역 일대를 중심으로 3단계 개발이 구상돼 있으며 △1단계(10ha): 스마트 생산·유통단지 구축 △2단계(5ha):배후 주거단지 개발 △3단계: 민간자본 유입 기반 확장 등을 계획하고 있다. 이를 위해 LH 협의와 고양연구원 검토가 진행 중이며, 해당 지구는 향후 경제자유구역의 기반 인프라로도 활용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 시장은 "앞으로도 민간기술과 현장경험이 결합된 스마트팜을 적극 도입하고, 지하보도 스마트팜 등 도시 인프라를 활용해 다양한 기능이 복합된 시민 친화 공간을 조성하겠다"며 "나아가 도시계획 관점으로 스마트팜 단지를 조성해 미래 농업 기반을 마련하고 수도권 스마트 농업을 선도하는 도시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스마트농업 기반조성을 위해 지난 2022년 '고양형 스마트농업 구축' 연구용역을 시작으로 전문가 자문회의 개최, 농업발전 심포지엄 등 다양한 논의를 거쳐 부지 확보를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