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노동자들이 "6.3 대통령선거일을 '택배 없는 날'로 지정해 택배노동자들의 참정권을 보장해 달라"고 촉구했다.
전국택배노동조합과 참여연대, 택배노동자과로사대책위 등은 21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택배노동자들도 이 나라의 주권자"라며 "쿠팡을 비롯한 씨제이대한통운, 한진, 롯데, 로젠 등 모든 민간택배사들이 함께 (택배 없는 날에) 동참해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택배노동자들은 "택배노동자들도 국민이고, 선거권이 있고, 사실상 노동자인데, 왜 이들은 투표일에 다른 이들처럼 쉬면서 오롯이 참정권을 행사할 수 없는 것이냐"며 "명백한 차별이며, '사회적 신분과 교육, 재산, 인종, 신앙, 성별 등과 관계없이 일정한 연령에 달한 모든 국민에게 참정권을 보장한다'는 보통선거의 원칙을 훼손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국토교통부의 택배사 휴무 지침 마련 △한국통합물류협회의 선거일 휴무 권고 △특수고용노동자에 관한 국회의 정치적 권리 보장 △선거 당일 택배사들의 휴무 확정 등을 요구했다.
김광석 택배노조위원장은 "코로나19라는 국가적 재난 속에서도 늘어난 물량을 감당하며 묵묵히 일하던 우리에게,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국민 여러분과 각 택배사들이 손을 내밀어주셨다"며 "우리는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었다. '한 사람의 시민'으로서 대한민국의 미래를 결정하는 한 표를 행사할 수 있다는 감격이었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그러나 "그 소중한 권리가 다시 무너지고 있다. 2022년 대선 당시 택배사업을 막 시작한 쿠팡은 투표일에 쉬지 않았다"며 "택배산업에서 1위 사업자인 쿠팡이 참정권 보장도 없이 정상 근무를 하니 나머지 택배사들마저 너도나도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 6월 3일을 근무일로 지정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주 7일 배송, 365일 배송 멈출 수 없는 배송이라는 참혹한 현실이 우리를 다시 참정권의 사각지대로 몰아넣고 있다"며 "6월 3일, 제21대 대통령 선거일을 '택배 없는 날'로 지정해달라"고 했다.
이지현 참여연대 사무처장은 "윤석열의 12.3 비상계엄의 문제가 무엇이었나. 헌법이 보장하는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하고 민주주의를 무너뜨린 것 아니겠느냐"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새로운 노동 형태에 종사한다는 이유로 주권자의 참정권이 쉽게 무시된다면, 주권자가 자신의 권리를 위임하는 과정인 선거 참여가 기업의 영업 방침 때문에 가로막힌다면, 이것이 바로 헌법과 법의 정신을 부정하고 민주주의를 파괴하는 행위 아니겠느냐"며 택배노동자들의 투표권 보장을 촉구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