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가 ‘기능성식품 규제자유특구’로 새롭게 지정되며, K-푸드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규제 혁신에 나선다. 이는 2019년 친환경자동차, 2020년 탄소융복합산업에 이은 세 번째 특구로, 전북의 식품산업 전략이 정부로부터 다시 한 번 인정받았다는 의미다.
전북도는 21일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규제자유특구위원회 최종 심의에서 전북 기능성식품 특구가 제10차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특구의 핵심은 ‘미등재 고시형 기능성 원료의 일반식품 적용’과 ‘건강기능식품 공유공장 운영’에 관한 실증사업이다.
현행 제도에서는 68종의 고시형 기능성 원료 중 일반식품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 29종에 불과해 산업 확장에 한계가 있었다. 전북도는 이 가운데 11종을 대상으로 안전성 검토, 생산기준 마련, 시제품 제작, 기능성 표시 등록까지 실증할 계획이다.
또 GMP(우수건강기능식품 제조기준) 기준에 따라 한 시설에 한 기업만 등록 가능한 현 제도를 개선하기 위해, 스마트 GMP 기반의 자동화 공유공장을 구축하고 다수 기업이 공동 활용하는 방식도 실증에 나선다.
총 159억 원이 투입되는 이번 사업은 전주, 익산, 순창, 남원 등 4개 시군에서 진행되며, 15개 기업과 기관이 참여한다.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이 총괄을 맡고, 전북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등이 협력한다.
전북도는 지난해 9월 후보 특구 선정 이후, 식품기업 현장 수요를 반영해 실증계획을 구체화하고, 식약처와 농식품부 등과의 협의를 통해 실현 가능성을 높였다. 전북지방시대계획과의 연계성도 긍정적 평가를 받았다.
이번 특구 지정은 국가식품클러스터 2단계 조성, 푸드테크 산업 생태계 확대, 식품기업 유치 등 전북의 식품산업 전략에 속도를 더할 전망이다. 도는 기능성식품을 중심으로 농생명산업과의 연계도 강화해 지역경제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계획이다.
도는 2028년까지 △44개 기업 유치 △85명 신규 고용 △96건 제품 개발 △344억 원 생산유발 효과를 기대하고 있으며, 향후 건강기능식품 기회발전특구, 농생명융합 연구개발특구, 국가식품클러스터와의 시너지 창출도 모색 중이다.
김관영 전북도지사는 “이번 특구 지정은 전북이 가진 식품산업 인프라와 잠재력을 바탕으로 농생명산업 특화지역의 위상을 다시 한 번 확인한 것”이라며 “실증사업이 차질 없이 추진되도록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어 “신산업 육성과 규제 혁신을 통해 지역 균형발전과 국가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