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마산만 인공 섬(해양신도시)을, 차기 정부는 꼭 해결해 달라."
경남 창원시 마산YMCA·창원물생명시민연대는 22일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피력했다.
이들은 "1997년 정부는 ‘마산항 광역개발 기본계획’을 통해 마산항에 3만t급 선박이 출입할 수 있는 항만의 필요성을 역설하며 현 가포신항을 추진했다"며 "항만 가동 후 실제 물동량은 정부 예상치에 크게 밑돌았다"고 밝혔다.
이들은 "마산만 인공 섬(해양신도시)은 허위 조작된 용역을 근거로 조성된 가포신항을 통해 민간기업은 수익을 창출했다"면서 "해양수산부 퇴직간부들은 항만운영사의 대표를 차례로 맡는 등 민간기업과 해수부 공직자의 카르텔이 버젓이 증명됐다"고 말했다.
"마산만 인공 섬(해양신도시)은 가포신항의 항로공사에서 발생한 준설토로 매립된 땅이다"는 이들은 "2017년 5월 3일 당시 문재인 대통령 후보는 마산 유세 때 '가포신항과 해양신도시의 전 과정을 철저히 평가해 정부가 책임질 일이 있으면 확실히 책임지고 새로운 대책을 마련하겠다며 공언했다. 같은해 9월 4일 문재인 정부의 김영춘 해양수산부장관도 동일한 입장을 밝혔지만 끝내 아무 것도 달라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들은 "마산만 인공 섬(해양신도시)은 현재 마산만 인공 섬은 5차에 걸쳐 시행된 민간개발사업자 선정과정에서 발생한 소송이 진행 중이다"며 "이 도시에 살고 있는 시민들은 철저히 소외된 채 민간개발업자의 먹잇감이 됐다"고 말했다.
이들은 "마산만 인공 섬(해양신도시)은 양날의 칼과 같다"면서 "개발이 성공하면 기존도시의 주거와 상권에 치명적인 타격을 줄 것이고, 개발이 실패하면 되돌릴 수 없는 재앙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마산YMCA·창원물생명시민연대는 "인공 섬의 무한한 잠재력이다"고 하면서 "정부는 결자해지의 자세로 마산만 인공 섬 전체가 오직 시민들의 공간이 되도록 해야 한다. 또한 각 정당 대통령선거 경남선거대책위원회는 공공용지로 만들기 위한 정책을 대통령후보 공약으로 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어떤 도시에서도 상상할 수 없는 해양자연공원으로 만들고 싶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