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이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후보지로 선정되며 강서구에 2027년까지 대규모 ESS(에너지저장장치) 단지가 들어설 전망이다.
부산시는 부산이 제1호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최종 후보지로 선정됐다고 22일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공모를 실시해 11개 시도에서 25개 후보지를 접수했다. 이 가운데 부산을 초함한 7개 지역이 최종 후보지로 선정됐다.
분산특구로 최종 지정되면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따라 규제 특례가 적용돼 전기사업법, 전력시장운영규칙 등으로 불가능했던 에너지 신사업 추진이 가능해진다.
시는 강서구 일원 49.ㅡ9k㎡ 부지에 신산업활성화형 분산특구를 지정하고 대규모 공유형 ESS(에너지저장장치) 팜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ESS 팜은 수요자의 초기투자비용과 효율성 저하 등의 문제를 보완하는 원격지 모델이다. 저장된 전기를 가상상계거래를 통해 수요자에게 판매하는 신사업모델을 실현한다. 수요패턴 분석을 통해 실시간 수요 대응이 가능하며 항만 육상전원공급설비(AMP)와 같은 일시적인 대규모 전력 수요에도 즉시 대응할 수 있다.
ESS 팜에는 안정성이 높은 LFP 배터리를 활용한다. 오는 2027년까지 250MWh 규모로 구축하고 2030년까지 500MWh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주변 산업단지의 현재 수요와 에코델타시티 내부에 입주하는 산업체들의 예측 수요를 합치면 충분한 규모라는 것이 시의 판단이다.
시는 이 사업을 통해 연간 최대 200억 원의 전기요금 절감 효과를 전망한다. 전국 최대 규모의 ESS 구축을 통한 계통유연성 확보로 안정적인 전력 공급망 확보도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ESS를 기반으로 한 구독형 무정전 전원장치(UPS) 서비스를 제공하고 출력제한시 발생되는 잉여전력을 흡수해 에너지 효율을 높인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그간 추진되지 못했던 에너지 혁신모델 구현을 통해 수요기업들에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고 앞으로 부산이 글로벌 에너지 혁신 선도도시로 성장할 수 있도록 모든 행정역량을 집중해 나가겠다"라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