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조영제 함안도의원 "농촌 식재료 못구해 안탄까워"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조영제 함안도의원 "농촌 식재료 못구해 안탄까워"

"'식품사막화'는 지역소멸 촉매제...단순한 복지 사각지대 문제로 보아선 안 돼"

"농촌 마을에 식재료를 쉽게 구매할 수 없는 현실이 참 안타까울 뿐입니다."

조영제 경남도의원은 23일 열린 경남도의회 제423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이같이 피력했다.

조 의원은 "지금 농촌에서는 고령화와 인구 감소로 인해 마트나 슈퍼마켓 등이 철수하면서 주민들은 기본적인 식료품조차 구매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다"고 밝혔다.

조 의원은 "농촌마을 대부분의 어르신들은 자동차를 몰 수 없고, 온라인 쇼핑에 익숙하지 않으며, 배달 서비스조차 이용할 수 없는 상황이다"며 "식재료 하나를 사기 위해 수 킬로미터를 걷거나 몇 시간에 한 번 오는 마을버스를 이용해야 하는 현실에 놓여 있다"고 말했다.

▲조영제 경남도의원이 5분 자유발언을 하고 있다. ⓒ프레시안(조민규)

조 의원은 "경남지역의 4814곳 행정리 중 소매점이 없는 곳이 3571곳이나 된다"면서 "이 비중은 74.2%로 전국 평균을 상회하고 있다. 의령과 산청 등 7곳 군은 80%가 넘는 마을에 소매점이 없다"고 밝혔다.

특히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이 40%를 넘는 군(郡) 단위 지역에서 식품사막화는 더욱 심각하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조 의원은 ‘식품사막’에 대응하기 위해 이렇게 설명했다.

"이동형 슈퍼마켓 또는 공공배송 서비스를 체계적으로 구축해야 한다. 시·군 농협 등과 협력해 마을버스처럼 정기적으로 운영되는 푸드버스 또는 공동체 기반의 장보기 대행 서비스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농림축산식품부는 '가가호호 농촌 이동장터'란 이름으로 특장차량을 활용한 순회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범사업을 전국 9곳 지역에서 추진하고 있다. 우리 경남에서도 재빠른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영제 도의원은 "로컬푸드 기반의 '마을 공동 식생활센터' 설립이 절실하다"고 하면서 "이제 ‘식품사막화’ 문제를 단순한 복지 사각지대나 생활 불편 문제로 보아선 안된다. 이는 지역소멸의 촉매제가 되고 있다. 지금 조치하지 않으면 더 많은 마을이 지도에서 지워지게 될 것"이라고 직격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조민규

경남취재본부 조민규 기자입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