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 지역 각계 기관과 단체들의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 지지 선언이 연일 이어지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자발적 참여처럼 보이지만, 정치권 안팎에서는 “사실상 동원에 가깝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현장에서 만난 의원과 단체 관계자들은 하나같이 “정치 실적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다”고 털어놓는다.
5월 중순 이후 전북도의회에서만 30건에 가까운 이재명 후보 지지 선언 행사가 열렸고, 참여 단체는 50곳이 넘는다. 지역의 기업인과 간호사 모임, 문화예술인, 수산업계, 시민단체, 소상공인, 의약계, 교육·노동·체육계는 물론, 최근에는 영남권 주민과 군의원들까지 지지 행렬에 가세했다.
하지만 이 같은 지지 선언이 자발적 참여라기보다는, 중앙당이 지역 조직에 요구한 ‘실적 제출’에 따른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한 전북도의원은 <프레시안>과의 통화에서 “중앙당이 지역구 의원은 물론, 광역·기초의원까지 모두 평가하고 있다”며 “단체 지지 선언, 아침 인사, 퇴근길 유세 참여 사진 등을 항목별로 정리해 보고한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지지 선언 실적이 의원 평가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거절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일부는 명백한 ‘동원’이나 다름없다”고 토로했다.
이처럼 동원 압박이 커지면서 본연의 ‘자발적 지지’라는 의미가 퇴색되고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지역 문화예술계 한 관계자는 “행사 초대장을 받고도 망설였지만, 지역 정치인들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었다”며 “이게 정말 자발적 지지인지 스스로 되묻게 된다”고 말했다.
탄핵으로 인한 조기 대선이라는 특수한 상황이 작용한 측면도 있지만, 지역 정치권 내부에서는 이번 논란이 ‘지지 실적’을 평가 기준으로 삼는 중앙당 시스템의 구조적 문제를 드러냈다는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조기 대선이라는 긴박한 상황 속에서 지역 정치권의 ‘성과주의’가 더욱 강하게 작동하고 있다”며 “지역의 자율성과 현장 판단을 존중하는 정당 문화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이번 지지 선언 동원 논란이 민주당 지역 조직 내부의 압박 구조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중앙당과 지역구 의원들이 ‘성과주의’ 평가 체계를 앞세우면서, 지역 민심과 자발적 시민 참여가 훼손되고 있다는 비판이다.
비록 이번 사안이 선거법을 직접 위반한 것은 아니지만, 과도한 실적 중심 문화가 민주주의의 핵심 가치인 자발성과 시민 참여 정신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