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가 야심차게 추진한 서광로 BRT(간선급행버스체계) ‘섬식정류장’ 운영이 시행 초기부터 잇따른 민원과 시민 불편이 계속되고 있다.

도는 뒤늦게 민원 해소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지만, 근본적 문제를 외면한 뒷북 대응이라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제주도는 지난 9일 개통한 섬식정류장 운영 이후 지난 2주간 교통 흐름 평가 결과를 내놓으며 “서광로 구간의 차량 증감은 거의 없었고, 연삼로 방면 차량 유입은 1.3% 증가에 그쳤다”고 자평했다. 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고령층 승객을 중심으로 승하차 위치 혼란과 접근성 저하, 교통혼잡 등 각종 불편이 잇따르고 있다.
도는 탑승구 안내문 부착, 횡단보도 위치도 표시, 차선도색과 신호주기 개선 등을 주요 조치사항으로 내세웠지만, 정작 시민들이 체감하는 불편 해소에는 한계가 있다는 비판이 이어진다.
특히 섬식정류장과 가로변 정류장이 혼재된 채 운영되면서 일부 버스노선의 승하차 혼선이 심각하다.
도는 301번 급행버스를 연말까지 양문형버스로 교체하겠다고 밝혔지만, 200번대 시외버스의 경우 2028년까지나 개선될 예정이어서 시민 불편이 장기화될 우려가 크다. 그 사이 버스 정류장 접근성과 안전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이밖에도 일반차량의 습관적 전용차로 진입, 택시의 전용차로 진입 허용, 버스정보시스템(BIT) 오류, 정류장 인도폭 문제 등 각종 민원은 이달 6일부터 19일까지 불과 2주 만에 25건이나 접수됐다.
도는 ‘빠른 적응’을 기대한다며 BRT 운영 불편을 감수하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으나, 도민들의 교통권과 안전권은 뒷전으로 밀려났다는 비판이다.
예산 규모가 2·3단계까지 포함해 1500억원에 달하는 예산이 투입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다만 도는 1단계 사업 총사업비는 318억원이며, 이중 서광로 사업비는 87억원(국비 43.5억, 지방비 43.5억)에 불과하다며 사업 타당성에 대한 종합적 재평가를 회피하고 있다.
교통전문가들은 “BRT의 본래 취지는 대중교통의 신속성과 정시성 보장”이라면서도 “제주의 현실과 어울리지 않는 정류장 형태와 무리한 예산 투입이 반복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BRT 공사는 인도폭 잠식과 가로수 이식 문제로 중단된 전례가 있어 우려를 더욱 키우고 있다.
시민단체들은 근본적 문제인 정류장 설계와 노선 배치, 운영계획 전면 재검토를 요구하고 있다.
김태완 제주도 교통항공국장은 “2017년에 개통한 제주시청∼아라초 구간 BRT는 정착하는데 6개월 정도 소요되었으나, 서광로 구간의 경우 그간의 경험치를 바탕으로 빠른시간내 정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며 "도민 불편사항을 중심으로 조속히 개선해 섬식정류장이 쾌적하고 빠른 버스 이용 환경을 제공하고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한 핵심시설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