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시내버스 노조가 파업을 예고하면서 부산시가 전세버스 투입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시는 오는 28일 부산 시내버스 노조가 파업을 예고하면서 노사 간 협상을 유도해 나가는 한편 파업에 이르게 되는 경우를 대비해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연말부터 부산 시내버스 노사는 11차례에 걸쳐 2025년 임금협상을 진행했으나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지난 12일 부산지방노동위원회에 조정신청을 했다.
5월 20일과 26일 각각 1차, 2차 조정이 있었으나 별다른 성과가 없었다. 27일 열리는 3차 조정까지 결렬되면 노조는 총파업에 돌입한다.
시는 노사 간의 원만한 협상을 최대한 지원하고 파업에 이르게 되면 김광회 미래혁신부시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가동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비상수송 대책으로 전세버스 투입, 도시철도, 부산·김해경전철 증편, 택시 집중 운행, 승용차요일제 및 가로변버스전용차로 일시 해제 등을 추진한다.
전세버스는 도시철도와 마을버스가 없는 지역을 위주로 46개 임시노선에 전세버스 200대를 투입해 인근 도시철도역까지 승객을 수송한다. 오전 6시부터 오후 9시까지 운행하며 요금은 무료다. 도시철도와 경전철은 출퇴근 시간을 1시간 연장하고 평일 기준 도시철도는 50회, 부산․김해경전철은 10회 증편 운행한다.
택시는 파업 기간 운휴 차량을 최대한 줄여 승객 운송을 늘리고 버스정류소를 택시승강장으로 개방한다. 승용차요일제와 가로변버스전용차로는 한시적으로 해제해 승용차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김광회 부산시 미래혁신부시장은 "파업에 이르지 않고 임금협상이 타결될 수 있도록 마지막까지 전력을 다해 노사 양측을 설득해 나갈 것"이라며 "만일의 경우를 대비한 비상수송대책 추진에도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