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가 결혼 및 출산 연령의 고령화로 인한 난임과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국 최고 수준의 난임 지원 정책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경북도는 올해부터 난임 시술 무제한 지원, 남성 난임 시술비 지원, 35세 이상 산모 의료비 지원 등 획기적인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실질적인 출산 장려 효과를 거두고 있다는 분석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 통계에 따르면 경북의 난임 진단자는 2023년 7,794명에서 2024년 1만 9명으로 28.4% 증가했고, 도에서 지원한 난임 시술도 2023년 5,947건에서 2024년 7,273건으로 22.3% 증가했다.
경북도는 2022년부터 소득과 관계없이 모든 난임 부부에게 시술비를 지원해왔으며, 2024년에는 체외수정 20회, 인공수정 5회까지 지원을 확대했다. 여기에 더해 이달 19일 심의회를 통해 의사 소견에 따라 시술 횟수 제한 없이 무제한으로 지원받을 수 있도록 제도화했다.
특히 난임 진단자 중 35.2%를 차지하는 남성에게 전국 최초로 시술비를 최대 100만 원까지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해 주목받고 있다. 이는 환경오염과 스트레스 등으로 증가하고 있는 남성 난임자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을 강화한 것이다.
또한 고령 임산부의 건강한 출산을 지원하기 위해, 분만 예정일 기준 35세 이상 산모를 대상으로 임신 기간 중 외래 진료 및 검사비를 최대 50만 원까지 지원한다. 해당 검사비 지원은 오는 7월 1일부터 신청 가능하다.
경북도가 올해 1분기까지 지원한 난임 시술은 총 2,628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10건 증가했으며, 2023년 전체 출생아 1만 300명 중 1,288명(12.5%)이 난임 시술을 통해 출생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다.
이 같은 시술 확대 정책은 난임 부부들의 지속적인 건의로 추진돼, 지난 5월 말 정부 협의를 통해 최종 확정됐다.
경북도는 난임 시술뿐 아니라 난임 부부의 전반적인 건강과 심리적 안정을 돕기 위해 안동의료원 내 난임센터와 안동·김천의료원 내 난임·임산부 심리상담센터를 운영 중이다. 또한 생애 초기 건강관리 사업을 통해 양육 교육, 건강 상담, 영아 발달 상담 등 통합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엄태현 경북도 저출생극복본부장은 “경북도는 임신 전부터 출산 이후까지 다양한 맞춤형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며, “초저출생 시대에 출산을 원하는 도민이 안전하고 행복하게 아이를 가질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