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도가 새 정부의 국정기획 초기 단계에서 핵심 현안을 선제 반영하기 위한 '정치적 전진기지'를 여의도에 마련했다. 명칭은 ‘도민주권 전북, 현장상황실’. 정책과 예산, 민생 세 축을 동시에 밀어붙이겠다는 전략이다.
도는 26일 서울 중앙협력본부에 현장상황실 현판을 걸고, 실시간 대응체계에 돌입했다. 국정 설계와 예산 편성이 본격화되는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기 위한 선제적 조치다.
김관영 전북도지사는 현판식 직후 열린 긴급상황회의에서 “국정의 골격이 잡히는 지금이야말로 전북이 주도적으로 나설 시간”이라며 “정책·예산·민생 3대 전선을 뚫기 위한 전북의 거점이 곧바로 작동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상황실은 기획조정실장을 상황실장으로 하고, 실국별 담당자와 서울 중앙협력본부 인력이 현장에 상주하는 상시 대응 체제로 꾸려졌다.
국정과제 반영, 국가예산 확보, 민생회복 대응 등 기능별로 팀이 나뉘며, 정부 부처와 국회, 정치권의 움직임에 실시간으로 반응한다.
‘국정과제 반영팀’은 국정기획위원회를 비롯한 정부 부처의 정책 흐름을 추적하며, 전북 주요 현안을 기획위원·전문위원·연고 국회의원에게 전략적으로 제안한다.
‘예산 대응팀’은 정부 추경 및 2026년도 본예산 편성 과정에 개입하기 위한 실무 대응에 집중한다. 기획재정부 심의와 국회 예결위 논의에 맞춰 정치권과의 공조도 병행할 방침이다.
‘민생회복 대응팀’은 정부가 구상 중인 민생회복지원금 집행방안과 관련 예산 흐름을 분석해, 도민 체감형 사업이 신속히 집행될 수 있도록 구조를 설계한다.
특히 ‘워룸 온(War Room On)’ 시스템을 도입해 일일 보고체계를 가동하고, 김 지사에게 직접 상황을 전달하는 지휘 체계가 핵심이다. 민간 기업이 위기대응에 활용하는 전략상황실 개념을 행정에 접목한 것이다.
이날 현판식에는 이원택 더불어민주당 전북도당 위원장도 함께했다. 도는 정치권과의 유기적 협력을 통해 정책 반영 가능성을 높이겠다는 구상이다.
이 위원장은 “추경과 민생 정책, 전북 핵심현안들이 국정과제에 포함될 수 있도록 국회 차원에서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전북도는 국회 예산심의가 마무리되는 연말까지 현장상황실을 상시 가동하며, 필요한 경우 긴급보고체계도 유지할 방침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