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특별자치도가 새 정부 출범 이후 국정과제 반영과 내년도 국가예산 확보를 위해 정치권과 손을 맞잡았다.
전북도는 26일 국회에서 전북 지역 및 연고 국회의원들을 잇달아 만나 주요 정책과 예산 현안을 공유하고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이날 협의회는 오전과 정오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됐다. 오전에는 국회의원회관에서 전북 국회의원들과 예산·정책 협의회를, 정오에는 국회 본관에서 전북 연고 국회의원들과 정책협의회를 각각 열었다.
오전 회의에는 김관영 전북도지사, 이원택 더불어민주당 전북도당위원장, 전북 지역 국회의원 5명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전북도는 2026년도 국가예산에 반영돼야 할 전략사업과 주요 입법 과제를 설명하고, 국회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전북도는 지역 산업 기반 강화와 신산업 육성, 민생 회복을 위한 주요 사업을 중심으로 정치권의 협조를 구했다. 특히 공공의대 설립, 전북특별법 개정,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 특별법 제정 등 핵심 입법 과제의 조속한 추진 필요성을 강조하며, 새 정부 국정 설계에 전북의 현안이 반영될 수 있도록 국회의 역할을 당부했다.
광역교통계획과 관련해서도 논의가 오갔다. 전북도는 최근 개정된 대도시권 광역교통관리특별법에 따라 전북권이 국가 광역교통계획에 실질적으로 포함될 수 있도록 시행령 개정 등 후속 조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오에는 국회 본관에서 열린 두 번째 회의가 이어졌다. 이 자리에는 전북 연고 국회의원 14명을 포함해 김관영 지사, 도청 간부진, 이원택 위원장 등이 함께했다. 회의에서는 전북의 국정과제 건의 내용, 예산 심의 대응 현황, 주요 입법 지원 방안 등이 집중 논의됐다.
이원택 위원장은 “전북의 건의과제가 새 정부 국정과제에 반영되도록 전북도와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김관영 지사는 “이제는 제도를 넘어 실질적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예산 확보를 통해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전북도는 이날 협의회를 계기로 도정 건의 과제를 정리하고, 향후 국회 예산 심의 일정에 맞춰 상시 대응체계를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예산과 정책, 입법이 따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유기적으로 연결돼야 전북의 도약이 가능하다는 것이 도의 판단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