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선 도전'을 공식화한 김영록 전남도지사의 최근 정무직 인사를 두고 뒷말이 무성하다.
전남도는 지난달 26일자로 전문 임기제 가급(2급 상당)에 A정무수석(정무수석보좌관)과 B정책수석(홍보정책보좌관)을 각각 임명했다.
A수석과 B수석 임기는 임명일로부터 오는 2026년 6월25일까지 1년간 이며, 지자체장 임기 만료일까지 연장 가능하다.
이들은 민선 8기 도정 주요 현안을 홍보하고 각종 정책 결정을 보좌하는 업무를 맡게 됐다.

A수석은 김 지사의 최 측근으로 지난 2월 김 지사의 대선 출마 선언으로 경선 캠프 합류를 위해 6명의 정무직들과 일괄 사직한 바 있다. 당시 그의 직급은 3급 상당이었다.
그러나 김 지사가 2개월여만인 지난 4월 대권 도전 포기에 이어 정권 교체 후 3선 도전을 가시화하면서 도정에 복귀했다.
도는 A수석 복귀 전 행안부와 협의를 거쳐 3급 상당의 기존 직급을 2급 상당으로 상향 조정했다.
또한 A수석과 함께 사퇴로 공석이었던 2급 상당 정책수석 자리에는 김 지사 대선 출마 선언 후 2개월 여간 캠프에서 대외 홍보를 맡았던 지역 일간지 부국장 출신의 B씨가 새롭게 이름을 올렸다.
앞서 지난달 17일에는 더불어민주당의 외곽 친명조직인 더민주전국혁신회의 상임고문인 강위원씨가 경제부지사(52)로 임명됐다. 이번에도 도는 지방 일반 임기제 공무원 자리인 전남도 경제부지사직에 대해 조례안을 개정, 별정직 정무직을 채용할 수 있도록 변경했다.
이로 인해 '회전문에 보은 인사', '코드인사'라는 말까지 도청 내에서 돌며, 도정보다는 정치에 치중한 '과도한 측근 챙기기' 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A수석은 김 지사가 민선 7기에 앞서 의원 시절부터 함께한 최측근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지사 임기 시작과 동시에 임용돼 현재까지 정무 업무를 맡고 있다. B수석은 지난 2월 김 지사 대선 캠프에 합류하기 직전까지 지역 일간지에 재직하고 있었으나 2개월간 선거 운동을 도우면서 도에 입성했다.
김 지사의 두달여간의 짧았던 대선 운동을 돕고자 사퇴했던 정무실장을 직급 상향을 통해 복귀시킨데 이어 역시 김 지사 선거 캠프에 합류했던 지역 언론인 출신을 같은 직급인 2급에 앉힌 것이다.
2급 상당 두 수석 인사를 두고서는 30여년 간의 성실한 근무로도 쉽지 않은 주요 요직이 '정치적 줄'에 의해 쉽사리 내려지는 것을 본 일반직들의 상실감과 허탈감이 이어지고 있다.
여기에 강 경제부지사는 2차례의 음주운전과 1차례 여성 성추행 전력, 그리고 한총련 의장 재임 시절 민간인 치사 사건에 연루되는 등 도덕성이 도마에 오른 인물이다.

이와 함께 전남도 출자, 출연기관 인사도 '보은인사'라는 비판과 함께 재조명되고 있다.
과거 김 지사 선거 캠프에 소속돼 선거운동을 도왔던 C씨는 최근 농업박물관장에 낙점돼 근무를 하고 있다. 또한 언론사 출신 D씨 역시 선거 캠프 홍보 담당을 맡았다가 민선 7기 4급 상당으로 도에 입성했다. 그는 최근 전남학숙 원장으로 자리를 옮겨 근무하고 있다.
전남도 공무원 노조 관계자는 "행정고시에 합격해 30여 년간 공직자로서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열심히 달려도 2급을 달기란 하늘의 별 따기만큼 어려운 일"이라며 "줄서기를 잘해 정치적으로 좀 도왔다는 것으로 고위급을 차지하는 현실을 보면 결코 유쾌하지 않은 것이 사실"이라고 토로했다.
이어 "출자, 출연기관 고위직의 경우 전문성이 담보되지 않는데도 보은인사 격으로 들어온 것에 대한 내부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김영록 전남지사는 최근 기자회견에서 강 경제부지사 논란에 대해 "젊었을 때 일부 잘못을 있지만 충분히 벌을 받았다고 생각하고, 본인도 젊을 때 과오에 대해서 깊이 뉘우치고 있다"며 "지역사회 활동을 많이 한 전국적인 성공을 거둔 혁신가로 새 정부와 소통해 여러가지 국정 과제에 채택될 수 있도록 하는 인적 네트워크가 있어 강점이 있는 만큼, 큰 성과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면서 논란을 일축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