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완주군의회가 완주·전주 행정통합 논의에 대해 “주민이 빠진 통합, 민주주의가 실종된 절차”라며 강도 높은 비판과 함께 공식적인 전면 반대 입장을 밝혔다.
의원 11명 전원은 3일 전북도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통합이 강행될 경우 내년 지방선거에 모두 불출마하겠다”고 선언했으며, “반대로 통합이 무산될 경우 김관영 도지사와 우범기 전주시장이 정치적 책임을 져야 한다”고 압박했다.
이들은 특히 최근 전주시·완주군 민간 협의체가 발표한 ‘105개 상생발전 방안’에 대해 “신뢰할 수 없는 기획물”이라며 일축했다.
유의식 의장은 “찬성 의견서 대부분은 완주 외 지역 거주자의 참여로 의심되며, 실제 군민이 논의에 참여한 흔적조차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관영 지사가 군민의 공식 동의도 없이 일부 찬성 서명만으로 지방시대위원회에 통합 의견을 제출한 것은 지방자치의 근간을 허무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유 의장은 이번 통합 논의의 배경에는 정치적 셈법이 깔려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김 지사가 도정 공약이라는 이유로 통합을 밀어붙이고 있지만, 사실상 전주시 표심을 노리고 완주를 희생시키려는 것”이라고 직격했고, 왜곡된 통합 논리를 공개 검증하자며 우범기 전주시장과 남관우 전주시의장에게 TV토론을 공식 제안했다. “소통 없는 통합 추진은 더 큰 갈등을 낳을 뿐”이라는 경고도 덧붙였다.
심부건 의원은 “완주가 성장한 건 전주 덕이라는 주장은 왜곡”이라며 “실제 기업 유치는 완주가 주도했고, 그 수혜를 전주가 입은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전주의 6000억 원 부채를 언급하며 “통합 이후 완주가 이 부채까지 떠안을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다”고 지적했고, “상생은 필요하지만 행정통합이 유일한 방식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서남용 의원은 “전북도가 9차례 여론조사를 실시하고도 결과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며 “행정안전부는 주민투표에 앞서 여론조사를 통해 반대 여론이 높을 경우 절차를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민투표 강행은 지역 사회를 분열시키는 촉매제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함께 제기됐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