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故) 채수근 상병 순직 사건 수사 방해 의혹을 수사 중인 이명현 특검팀이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등 핵심 인물들의 출국금지 조치를 내리는 등 혐의 입증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정민영 특별검사보는 3일 브리핑에서 "이 전 장관과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등 주요 관련자들을 출국금지했다"고 밝혔다.
이 전 장관은 임 전 사단장 등에게 채상병 순직 책임이 있다고 판단한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의 초동수사 결재를 번복하는 등 수사 외압 의혹을 받고 있으며, 김 전 사령관은 채 상병 사건을 조사한 뒤 경찰 이첩을 보류하라는 지시를 내려 수사 외압을 가한 의혹을 받고 있다. 임 전 사단장은 채 상병 등 부대원들을 무리한 실종자 수색 작전에 투입해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를 받고 있다.
채상병 특검팀은 아울러 '임성근 구명 로비' 의혹에 연루된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에 대해서도 출국금지 결정을 내렸다. 이 전 대표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배우자인 김건희 전 코바나컨텐츠 대표의 측근으로, 임 전 사단장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로비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정 특검보는 "압수수색 영장 청구도 검토 중"이라며 이날 출국금지 조치한 이들에 대한 강제수사 가능성도 시사했다. 특검은 관련 자료와 증거 확보를 위해 수사 강도를 높일 것으로 보인다.
전날 임 전 사단장을 소환 조사한 내용에 대해선 "업무상 과실치사 관련 질문들이 처음에 있었는데, 대부분 진술을 거부했다"며 "이후 직권남용이나 허위보고, 구명로비 관련 질문에는 일부는 답하고, 일부는 진술을 거부하는 식이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임 전 사단장이 전날 특검팀에 제출한 휴대전화는 포렌식하기 위해 대검찰청으로 넘겼다고 밝혔다.

한편 12.3 비상계엄 사태 관련 내란 의혹을 수사하는 조은석 특별검사팀은 전날 한덕수 전 국무총리 등을 소환 조사한 데 이어 이날에는 김주현 전 민정수석과 김성훈 전 대통령경호처 차장을 동시 소환했다.
김 전 수석은 비상계엄 해제 다음날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이완규 전 법제처장 등과 함께 서울 종로구 삼청동 안전가옥에서 열린 모임, 이른바 '안가모임'의 참석자로, 계엄 해제 이후 사태 뒷수습을 위해 증거인멸 등을 논의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받고 있다. 김 전 수석은 또 한 전 총리가 비상계엄 선포 이후 뒤늦게 서명이 된 선포문을 작성했다가 폐기한 의혹과 관련해서도 개입한 의심을 받고 있다.
김 전 차장의 경우 윤 전 대통령의 체포영장 집행을 방해하고, 비화폰 서버 삭제를 주도한 혐의를 받고 있다.
내란 특검팀이 숨 가쁘게 주요 관계자들을 소환하는 것은 오는 5일로 예정된 윤 전 대통령 2차 조사를 앞두고 혐의점을 명확히 하기 위한 차원으로 보인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