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강원대 ‘2025년 글로컬대학30 성과교류회’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강원대 ‘2025년 글로컬대학30 성과교류회’

강원대학교(총장 정재연)는 3~4일까지 이틀간 속초 롯데호텔에서 ‘2025년 글로컬대학30 성과교류회’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강원대학교와 강릉원주대학교가 함께 추진해 온 ‘글로컬대학30’ 사업이 2025년 교육부 연차평가에서 최고등급을 획득함에 따라, 그간의 성과를 공유하고 지역 협력 기반의 지속가능한 발전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정재연 강원대학교 총장, 박덕영 국립강릉원주대학교 총장을 비롯한 주요 보직자, 강원특별자치도와 춘천시·원주시·강릉시·삼척시 등 광역 및 기초지자체 관계자, 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강릉분원 등 지역 협력기관 관계자 등 약 130명이 참석했다.

강원대학교와 국립강릉원주대학교는 2026년 3월 통합 강원대학교 출범을 목표로, 지역 균형발전과 지역특화 혁신을 위해 캠퍼스별 특화혁신센터를 중심으로 다양한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이번 성과공유회를 통해 대학과 지역, 협력기관 간 유기적인 상생 협력 체계를 강화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성과교류회는 이득찬 산학연구부총장 개회사와 정재연 강원대학교 총장과 박덕영 강릉원주대학교 총장의 환영사를 시작으로, 정진근 강원대학교 기획처장의 ‘함께 꾸는 하나의 꿈 글로컬 리더, 강원대학교’ 발표가 진행됐다.

이어, ▲원격교육센터 ▲KNU창업혁신원 ▲자연기술센터 ▲KNU글로벌인재네트워크센터 ▲한국어교육센터 ▲현장체험오픈센터 ▲집중교육센터 ▲지학협력본부의 주요 실적과 향후 운영 계획이 발표됐다.

‘원격교육센터’는 기반 구축을 통해 총 29종의 원격수업 콘텐츠를 개발했으며, 올해는 도민 대상 콘텐츠 보급과 함께 AI 기반 초개인화 개방형 원격교육시스템(LMS) 개발을 통해 학습 관리 체계를 고도화할 예정이다.

‘KNU창업혁신원’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총 52건(학생 35, 교원 17)의 창업 실적을 달성했으며, 창업순회실습, 창업사관학교 등 ‘창업 미네르바 로테이션 실습’과 지역 연계 마이크로러닝 개발 등을 통해 지역 중심의 창업 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자연기술센터’는 사제동행 프로그램을 통해 16건의 자연기술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앞으로 연구회 기반 교과목 개발과 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해 지역산업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KNU글로벌인재네트워크센터’는 해외 KNU문화원 운영과 외국인 유학생 정주 기반 마련을 통해 대규모 외국인 유학생 유치 기반을 구축했으며, 올해는 현지 교육 프로그램과 정주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더욱 높일 계획이다.

‘한국어교육센터’는 캠퍼스 단계별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으며, 앞으로는 지역기관과 협력해 지역 외국인 주민을 위한 맞춤형 집중 교육·문화 체험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지역 정주 여건을 강화할 계획이다.

‘현장체험오픈센터’는 실습랩과 개방형 오픈스페이스를 구축하였으며, 올해는 실습랩 기반의 대학과 지역 연계 AI 교육 및 컨설팅, 오픈스페이스를 활용한 지역상인 온라인 쇼핑몰 창업과정 등을 운영해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실무형 인재 양성를 양성하고 지역사회 교육에 기여할 계획이다.

‘집중교육센터’는 재학생과 교직원,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다양한 집중 교육을 운영해 왔으며, 올해는 유학생 한국어 역량 향상 및 문화, 국가자격 취득 지원, 지역주민 100세 특강, 고등학생 진로 컨설팅 등 프로그램 영역을 확대할 예정이다.

‘지학협력본부’는 캠퍼스별 본부와 센터 구축을 통해 대학-지자체 간 협업 체계를 정립했으며, 기초지자체 협력관 추가 파견과 공동사업 추진을 통해 대학-지역 간 협력 기반을 고도화할 예정이다.

정재연 총장은 “강원대학교와 국립강릉원주대학교는 이제 ‘강원 1도 1국립대학’이라는, 대한민국 고등교육의 새로운 길을 열어가고 있다”며 “이번 성과교류회를 통해 그동안의 성과와 노력을 공유하고 ‘강원 1도 1국립대학’이 지향하는 비전과 철학, 그리고 캠퍼스별 혁신 방안과 미래 발전 전략을 논의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서동일

강원취재본부 서동일 기자입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