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남방큰돌고래 ‘행운이’ 보호를 위한 전담팀(TF)을 구성해 본격 구조에 들어간다.

제주도는 8일 오전 11시 도청 백록홀에서 남방큰돌고래 ‘행운이’의 구조와 보호를 위한 전문가 전담팀(TF) 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최근 구좌읍 해상에서 폐어구에 걸린 채 발견된 ‘행운이’의 상태를 분석하고, 구조와 치료, 보호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운이’는 약 2m 크기의 중형 돌고래로, 태어난 지 6~7년 정도 된 비성체로 추정된다. 제주 동부와 서부 해역을 넘나들며 광범위하게 활동하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2024년 이후 총 네 차례 폐그물에 걸린 모습이 관찰됐다.
이에 제주도는 정무부지사를 단장으로 행정, 해양생태, 수의, 어구·어법 분야 전문가 등 총 11명으로 전담팀(TF)을 구성했다. 전담팀에는 제주도청, 국립수산과학원, 해양수산연구원, 제주대학교 등 관련 기관들이 참여했다.
회의에서는 기존 ‘종달이’ 구조 사례를 바탕으로 선박 접근, 특수 장비 활용 포획, 치료 후 방류 등 다양한 시나리오가 논의될 예정이다. 또한 해양경찰청의 협조 체계와 함께 민간 구조 전문가 참여 방안도 검토된다.
한편, 지난해 남방큰돌고래 ‘종달이’는 해양수산부 주관 3차례의 구조기술위원회 회의와 약 10개월간의 구조 활동 끝에 2024년 8월 17일 낚싯줄 제거에 성공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