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이 경영정상화를 이유로 전북지역 자회사를 '콕 집어' 매각작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전북 정치권은 강건너 불구경만 하고 있다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공기업인 한국중부발전(사장 이영조)은 장기간 적자가 지속돼 경영정상화가 필요하다는 이유를 들어 전북자치도 익산시 제2산단에 있는 ㈜상공에너지를 매각 추진 중에 있다.
중부발전은 한 사모펀드를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해 막판 매각작업을 진행 중인 가운데 사모펀드의 입찰액이 매각대상 주식 가액의 10분의 1도 되지 않아 '헐값매각' 논란도 증폭되고 있다.

특히 우선협상대상자인 사모펀드는 상공에너지 직원 110여명의 고용 보장과 관련해 3년만 제시한 것으로 알려져 직원들이 노조를 결성하는 등 집단반발에 나서고 있다.
복수의 직원은 "매각에 반발하자 주동자를 색출하라는 윗선이 지시가 내려온 것으로 안다"며 "중부발전 측에서 더 이상 설명회를 하지 않겠다는 말도 나온 것으로 안다"고 말하는 등 극도의 불안감을 표출하고 있다.
중부발전 측은 "주동자 색출 지시 등은 있을 수 없는 일이며 처음 듣는 일"이라고 강하게 부정했다.
일각에서는 공기업인 중부발전이 전북자회사의 매각 강행 이유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지역균형발전이 최대 화두로 떠올랐음에도 중부발전이 단순히 경영정상화 차원에서 낙후 전북의 자회사를 타깃으로 헐값에 매각하려는 이유를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는 문제제기이다.
상공업계의 한 관계자는 "중부발전은 전체 직원 2800여명에 지난해 매출만 총 7조2300억원에 달하고 영업이익도 4800억원을 기록한 거대 공기업"이라며 "정치·경제적으로 힘이 약한 전북을 가볍게 보고 전북 자회사만 매각하려는 것 아니냐"고 강하게 반발했다.
적자를 이유로 든다면 중부발전을 포함한 국내 발전 5개사의 각 지역 자회사도 줄줄이 매각해야 할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상공업계에서는 "이재명 대통령은 국가균형발전을 국정과제로 삼고 낙후지역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여러 차례 강조해왔다"며 "지역 내 대표적인 에너지 기업을 이익만 따먹는 사모펀드에 매각하는 것은 균형발전 취지에 역행사는 처사"라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상공업계는 이번 기회에 정부 차원에서 중부발전의 전체 자회사를 대상으로 경영실태를 분석해 적자 규모 등을 따져봐야 할 것이란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상공에너지의 헐값매각 파동에 지역사회에 떠들썩하지만 전북 국회의원들은 아직 실태 파악에 눈을 감고 있는 등 강건너 불구경이라는 비난이 빗발치고 있다.
익산산단내 한 관계자는 "특정 사모펀드가 상공에너지를 인수할 경우 익산의 집단에너지비용이 가파르게 상승하는 등 여러 부작용이 속출할 것"이라며 "전북 정치권은 실태 파악 차원의 자료를 요청하는 등 적극적인 액션이 전혀 없는 상태"라고 주장했다.
사회단체의 한 관계자는 "전북 정치권이 기회 있을 때마다 지역경제 활력회복을 외치면서 정작 공기업 자회사인 상공업체 매각에는 뒷짐을 지고 있다"며 "공기업 고위직을 상대로 경영책임은 없는지, 중부발전 자회사 전반의 적자 규모 등은 얼마나 되는지, 과연 매각만이 해법인지 입체적으로 확인하고 고용불안 문제에도 적극 나서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60대의 상공인 K씨도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전북 출신 인물이 요직에 중용되는 등 전북 자존심 세우기의 기대감이 커가고 있다"며 "발등에 떨어진 상공에너지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 나갈지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