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차기 당권 주자인 박찬대 의원과 정청래 의원이 각각 △내란특별법 제정 △권리당원 권한 강화 등 당원·지지층 표심에 소구하는 의제를 꺼내들며 당권 레이스를 펼치고 있다.
박 의원은 9일 오전 전남 무안군 전남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80년 광주가 12.3 내란을 막을 수 있었던 것은 내란 쿠데타 세력에 대한 국민적인 역사 바로세우기와 법적 단죄가 있었기 때문"이라며 "내란특별법을 통해 12.3 내란을 완전히 매듭짓겠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전날 △내란 범죄자에 대한 사면·복권 제한 △내란 범죄자 배출 정당에 대한 국고보조금 차단 등을 골자로 한 내란특별법을 대표 발의, 당대표 선거를 앞두고 이른바 '내란종식'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는 강성 당원들에 어필하는 행보를 보였다.
박 의원은 이날엔 본인의 페이스북에 '내란특별법 발의와 관련해 테러위협을 받고 있다'는 취지의 글을 올며 "이재명 대통령도 당대표와 후보 시절, 방탄복 방탄유리를 입고 쓰면서도 국민과 함께하는 모습을 지켜봤다. 저도 주저함 없이 걷겠다"고 말했다.
이른바 '명심 호소'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박찬대 의원실은 이날 오전 보도자료를 통해 "이 대통령이 사용했던 국회 의원회관 818호 사무실을 물려받았다"고 하기도 했다.
박 의원은 한편 지난 4일 추가경정예산안 처리를 위한 본회의 참석 직후부터는 전북 전주, 전남 여수·무안, 광주 등 호남지역을 순회해 '호남살이'에 나서고 있다. 박 의원은 이날 회견에서 "1주일 호남살이가 이곳 전남에서 완성됐다"며 "김대중 대통령을 낳고 키운 전남에서 호남살이와 내란특별법에 대해 보고하게 되어 뜻깊다"고 호남 민심에 호소했다.
그는 당대표 선거 공약으로는 △2027년 지방선거 공천에 당원 참여 보장에 더해 호남 지역 맞춤 공약인 △전남형 공공의대 모델 완성 △여수 석유화학 특별법 제정 △전남을 신재생에너지 산업 허브로 육성 △서남권 관문공항 실현 등을 제시했다.
정 의원은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당원주권 정당혁신 토론회'에 참여, 원외 지역위원장들과의 접촉면을 넓히며 당심 잡기에 나섰다. 정 의원은 특히 토론회 인사말에서 "당헌당규가 개정되지 않았다면, 10년 전의 당헌당규라면 저는 당대표 출마를 엄두도 내지 못했을 것"이라며 권리당원 권한 강화 의제에 집중했다.
정 의원은 "10여년 전부터 제가 주장했던 게 당대표든 최고위원이든 (권리당원이) 참여할 기회는 보장해야 되는 것 아니냐 (하는 것)"이라며 "그게 이재명 대표 체제에서 바로잡아졌다"고 했다. 권리당원 권한 강화와 함께 이 대통령과 자신의 정당론적 지향이 유사함을 강조한 셈이다.
정 의원은 이어서도 "중앙 대의원이 45명 안팎인데 그것이 '버스 1대 인원이다'라는 자조섞인 말이 나올 정도로 실제로 우리는 동원된, 그리고 의원 입김과 오더(order)가 작용하는 그런 전당대회였다"며 "지금은 국회의원 오더가 통하지 않는 그야말로 당원이 주인 역할을 하는 그런 당헌당규로 개정돼 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은 "저도 8년간 원외 시절을 겪었다. 사무실 하나 얻는 것이 얼마나 위험천만한 일인지, 기초의원·광역의원과 함께 합동 사무소를 쓰는 게 얼마나 불편한 일인지 잘 알고 있다"며 "당연히 지구당이 부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원외 지역위원장들의 표심을 노린 것으로 풀이됐다.
그는 "지역위원회에서 쓸 수 있는 비용도 합법적으로 충당할 수 있는 후원 제도가 마련되는 게 너무나 시급한 일"이라며 "제가 모르는 (원외 지역위원장들의) 또 다른 아픔이 잊지는 않을까 그 부분까지 살펴서 여러분의 뜻을 천근같이 받들어 모시겠다"고 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