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의회가 9일 정부의 미국산 사과 수입 추진에 대해 강력히 반대하는 공식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는 최근 산업통상자원부가 농림축산식품부에 한미 통상 협상 카드로 미국산 사과 수입을 전향적으로 검토하라는 지시를 내렸다는 언론 보도에 따른 대응이다
경상북도는 전국 사과 생산량의 62%를 차지하는 최대 주산지로, 청송·영주·안동 등지에서 약 1만 8천여 농가가 1만 9천 헥타르 규모의 사과를 재배하고 있다. 전체 사과 생산액 1조 3,769억 원 중 약 8,247억 원이 경북에서 생산될 만큼, 사과 산업은 지역 경제의 핵심이다
도의회는 최병준 부의장(의장직무대리) 명의의 성명서를 통해 “미국산 사과 수입이 현실화될 경우 도내 사과 농가는 물론, 국내 과수 산업 전체가 회복 불가능한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특히 “최근 초대형 산불 피해, 고령화, 이상기후, 생산비 상승 등으로 이미 위기에 처한 사과 농가를 절벽 아래로 밀어버리는 행위”라고 지적하며, 정부 정책 추진에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
농수산위원회 신효광 위원장(청송)은 “더 이상 농민이 통상협상의 희생양이 되어서는 안 된다”며, “정부는 미국산 사과 수입 검토를 즉각 중단하고 책임 있는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상북도의회는 정부에 첫째. 정부는 국내 농업 보호라는 최소한의 원칙을 저버리는 어떠한 방식의 사과 수입 검토도 즉각 중단하라. 둘째. 정부는 어떠한 농산물도 통상협상의 대상이 될 수 없음을 강력히 선언하라. 셋째. 정부는 농업과 농민을 통상협상의 희생양으로 내몰지 않겠다고 국민 앞에 책임 있는 입장을 밝혀라. 고다음 세 가지를 요구했다.
도의회는 “사과는 단순한 과일이 아닌 농민의 생계이자 도민의 자부심”이라며, 앞으로도 260만 경북도민과 대한민국 농민의 뜻을 대변해 강력히 대응할 것임을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