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의 절반은 장마철 집중호우 피해 예방과 대처 방법을 모른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특히 예방 인지율은 저소득층이 40.3%로, 고소득층(65.5%)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은 지난달 26일부터 30일까지 5일간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장마철 피해 예방·대처 방법에 관한 의견을 온라인으로 조사,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18일 밝혔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5%포인트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50.2%만이 장마철 피해에 대한 예방 및 대처 방법을 ‘안다’고 답했다. 소득 하위 20%의 인지율은 40.3%에 불과했다. 반면 상위 20%는 65.8%로 조사돼 정보 접근성의 격차가 뚜렷하게 드러났다.
경기도의 ‘과거 피해지역, 하천변 산책로 등 재해 취약지역 사전통제’, ‘우선대피대상자 안부 전화 및 신속한 사전대피’, ‘도내 빗물받이 일제 정비점검’ 등 집중호우 피해를 줄이기 위한 여러 대응책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73.8%는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러나 소득 하위 20%의 긍정 응답률은 65.7%로 평균보다 8.1%포인트 낮아, 실제 정책 수혜 체감도에서 계층 간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오후석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장은 “조사 결과를 통해 도민의 정보 격차와 학습 수요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재난 대응 역량을 높일 수 있는 평생학습 방향을 검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도는 폭염, 폭우 등 기후위기로 인한 건강피해에 대비하고, 기후취약계층을 포함한 도민 전체의 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해 지난 4월부터 전국 최초로 ‘경기 기후보험’ 정책을 시행 중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