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에서는 지난 16일부터 19일까지 이어진 ‘극한호우’ 기간 동안 단 한 건의 인명 피해도 발생하지 않았으며 호우 종료 후에도 취약지역에 대한 철저한 예찰과 만전을 기할 것을 시군에 지시했다.
이번 집중호우로 청도군에 416.5mm, 경산시 333.9mm, 고령군 358.4mm, 안동시 165.4mm 등 경북 전역에 많은 비가 내렸다. 특히 청도군 각남면은 421mm, 고령군 우곡면은 360mm로 최대 강수량을 기록했다.
경북도는 이번 장마 시작 전부터 ‘과잉 대응’을 원칙으로, ‘마~어서 대피’ 프로젝트를 비롯한 5대 특별대책을 마련했다.
△인명피해 우려지역 선제적 과잉 대피 △마을순찰대 적극 가동 △실·국장 등 22개 시군 안전지원책임관 파견 △산불피해지역 24시간 전담관리반 가동 △우리마을 대피왕 제도 시행 등 호우 대응체계를 구축했다.
대응체계 내용으로는 도내 22개 시군 3,445개 마을순찰대 5,696명이 돌며 주민 대피와 예찰, 배수로 정비를 지원했으며 10개 시군 395세대 547명을 선제적으로 대피시켰다.
그 결과 대규모 인명 피해가 발생한 타 지역과 달리 경북에서는 단 한 명의 인명 피해도 없었다.
이철우 도지사는 “경북형 마을 대피 시스템인 ‘마~어서 대피’가 극한 호우 속에서 확실히 효과를 경북도으며 도와 시군, 그리고 도민 모두가 과할 정도로 경각심을 갖고 사전에 대피해 준 덕분에 인명 피해 없는 ‘0명’을 기록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폭우 이후에도 취약지역에 대한 점검과 예찰 활동을 더욱 강화해, 재난으로부터 도민의 안전을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하라”고 강조했다.
20일 오전 현재 경북에서는 공공시설 3곳(청도군 노후 저수지 제방 유실, 경주시 상수도관 파손 등 약 14억 원 피해), 성주군 주택 4채 침수 등 사유시설 2곳(약 4억 원 피해)만 집계돼, 전국과 비교해 피해가 매우 적었다는 평가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