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안화력 고 김충현(故) 비정규직 노동자 사망사고 대책위원회'가 발전 비정규직 사망사고 재발방지 대책 및 위험의 외주화 근절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김충현 협의체'를 조속히 구성하라고 이재명 정부에 촉구했다.
대책위는 21일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재명 대통령과 김민석 국무총리는 '김충현 협의체'를 빠르게, 제대로 구성하라"며 "(고 김충현 씨) 49재 다음날인 오늘부터 이 대통령과 김 총리가 약속한 '김충현 협의체'의 즉각 구성을 촉구하며 1박 2일 노숙농성을 시작으로 대정부 투쟁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대책위는 "김 총리는 6월 16일 후보자 자격으로 고인의 빈소에 방문했다. 그 자리에서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안전 문제' 등을 다루는 것에 있어 '김용균 노동자의 죽음 이후 정부 합의안에서 출발하되, 거기서 갇히지 않고 나아가는 방향도 생각해보겠다'고 약속했다"고 짚었다.
이어 "이 대통령 역시 김충현 사망사고 문제 해결을 중요하게 언급했다"며 "6월 2일 이 대통령은 페이스북에 '김용균 군이 세상을 떠난 그 현장에서 같은 비극이 또 일어났다. 고인의 죽음이 또 하나의 경고로 끝나지 않도록 저 이재명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고 했다.
대책위는 "약속의 말들은 차고 넘친다"며 "더 이상의 말은 약속을 지연시키고 실행을 유보하는 공허한 다짐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의 의지를 확인하기 위해 농성에 돌입한다. 정부는 또 다른 약속이 아닌 실행으로 답하라"고 촉구했다.
대책위는 22일까지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농성하며 결의대회와 선전전을 이어갈 계획이다. 박정훈 대책위 집행위원장은 "권력자가 외면해 가장 힘들고 어려운 노동자들이 고통받고 있다"며 "총리가 나올 때까지 이 자리에서 물러서지 않고 기다리겠다"고 밝혔다.
김영훈 공공운수노조 한전KPS비정규직지회장은 김 총리의 고 김충현 씨 빈소 방문에 "희망을 품었던 마음이 무색할 정도로 아무런 대책이 나오지 않고 있고 협의체에 진전이 없다"며 "협의체를 시작하려면 총리의 결단만 남았다고 들었다. 노동자의 시민과 생명을 돈과 저울질하는 기업과 이 정부는 다르다는 걸 증명해 달라"고 호소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