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당시 정부가 북한에 보낸 무인기에 달았던 전단 통을 모두 없애라는 지시가 내려진 걸로 확인됐다. 군 차원에서 위법 작전 증거 인멸 시도가 있었던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22일 JTBC는 "지난해 10월과 11월 수차례 북한에 대북전단을 실은 무인기를 보낸 드론작전사령부 백령도 부대 A 중령이 12.3 비상계엄 사태 일주일 뒤인 지난해 12월 10일 B 소령에게 '무인기에 장착한 전단통 등을 없애라'고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이때는 김용현 당시 국방부장관 지시로 윤석열 정부가 북한을 도발해 계엄 명분을 만들 목적으로 무인기를 북에 보냈다는 의혹이 일 시기다.
이 보도는 국회 국방위원회 김병주 위원(더불어민주당)실을 인용해 나왔다. 김 의원실은 복수의 해당 부대원을 통해 확인했다는 입장이다.
해당 지시를 받은 부대원들은 중장비를 동원해 전단통 파쇄를 시도했으나 "말랑말랑한 재질이라 잘 부서지지 않아 수작업으로 부쉈다"는 진술이 나왔다.
김 의원은 "(지난해) 12월 13일에서 16일경 실제 그것(전단통)을 망치나 여러 가지를 이용해서 완전히 제거한 후 버렸다"는 증언을 얻었다고 JTBC에 밝혔다.
관련 작업 후 남은 대북전단은 전단을 만든 국군심리전단에 반납하라는 지시도 내려왔다.
JTBC는 "부대원들은 애초 (대북전단을) 2만 장쯤 받았고 무인기 1대에 약 600장씩, 대략 5000장을 쓰고 남은 걸 (국군심리전단에) 돌려보냈다"고 했다.
이처럼 비상계엄 사태 이후 상황이 돌변하자 '전단통 제거, 전단 반납 지시'가 내려진 건 무인기 GPS 기록 덮어씌우기와 마찬가지로 불법 작전 흔적을 지우기 위한 시도 아니냐는 지적이다.
김 의원은 내란 특검에 관련 사건을 철저히 수사해 드론작전사령부의 증거 인멸 시도 등의 진실을 파헤치라고 요구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