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로봇융합연구원(KIRO)이 장애인과 로봇이 협업할 수 있는 스마트 작업 환경 조성에 나섰다.
이번 프로젝트는 산업통상자원부 지원 아래 ㈜뉴로메카가 주관하고, KIRO와 한국전자기술연구원이 공동으로 참한다.
특히 고령화와 생산인구 감소로 어려움을 겪는 산업 현장에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는 기술 개발이다.
이를 위해 지난 2024년 4월부터 2026년 12월까지 3년간 총 39억 원이 투입된다.
핵심 기술은 ▲장애인 맞춤형 작업 공간인 협동로봇 워크셀, ▲로봇과 사용자 간 직관적 소통을 위한 HRI 피드백 시스템, ▲사용자의 의도를 인식해 로봇을 제어하는 공유제어 알고리즘 등 세 가지다.
KIRO는 구미 로봇직업혁신센터(RoTIC)를 중심으로 기술 검증과 직무 교육 프로그램도 병행할 계획이다.
연구 완료 후에는 테스트베드를 통해 현장 수용성을 검토하고, 산업체 연계 직무 교육도 추진한다.
정의정 책임연구원은 “장애인의 실질적인 사회 참여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기술 개발”이라며, “다양한 취약계층에 확장 가능한 사회적 해법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KIRO는 이번 연구가 향후 고령자나 외국인 근로자 등으로도 적용 확대 가능한 포용적 고용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