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은 25일 노동자 사망 사고가 잇달아 발생한 SPC 삼립 시흥공장을 찾아 "똑같은 현장에서 똑같은 방식으로 똑같은 사고가 반복되는 건 사실 문제가 있다"고 했다. 허영인 SPC그룹 회장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중대산업재해 발생 사업장 현장 간담회에서다.
파리바게뜨, 베스킨라빈스, 던킨, 샤니, 삼립, 파리크라상, 파스쿠찌 등의 브랜드를 운영하는 SPC그룹은 손가락 절단 사고, 끼임 사고, 사망 사고가 잇달아 발생해 무책임한 기업 경영에 대한 반감이 커진 기업이다.
이 대통령은 "저도 노동자 출신이고 산업재해 피해자이기도 한데, 그로부터 수십년 세월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노동 현장에서 죽어가는 노동자들이 너무 많다"며 "예측할 수 있고 방지도 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떨어져서 죽고, 깔려서 죽고, 끼어서 죽고, 이런 산업재해들이 우발적으로, 간헐적으로 예측 못한 상태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한다고 하면 이해가 된다"며 "개별 사건마다 원인을 분석해 봐야 되겠지만 돈 때문에, 비용 때문에 안전과 생명을 희생하는 것이라면 그건 정말로 바꿔야 한다"고 했다.
또 "왜 똑같은 일이 벌어질까. 여러 원인이 있겠지만 추측할 수 있는 원인 중 하나는 예방을 위한 비용과 사고가 났을 때의 대가가 균형이 맞지 않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대선후보 시절이던 지난 5월에 SPC삼립 노동자 사망 사건이 벌어지자 "노동환경과 안전관리 문제에 대한 사회적 비판에 대표이사가 유가족과 국민들 앞에서 사과하고 재발 방지를 약속했지만, 또다시 유사한 사고가 반복 발생해 참담함을 금할 수 없다"고 밝힌 바 있다.
이 대통령은 이어 "대한민국이 세계 10대 경제 강국이라 하고 소위 국내 소득이 4만불에 가까운 선진국이라는데 현장만큼은 선진국같아 보이지 않아서 앞으로 노동부 장관이 할 일이 많을 것 같다"며 동행한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에게 각별한 관심을 주문했다.
이 대통령은 "자살율도 전세계에서 가장 높다고 하고, 사고도 워낙 높고, 교통사고도 많고, 산업 재해도 많고 너무 사람들이 많이 죽어간다"면서 "새로운 정부는 각종의 사유로 너무 많은 사람들이 죽어가는 대한민국의 현실을 근본적으로 바꿔보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죽지 않는 사회, 일터가 행복한 사회, 안전한 사회를 꼭 만들어야 되겠다"면서 "행복한 사회는 못 될지라도 불행 때문에 스스로 목숨을 끊는 일은 최소화해야 되지 않겠나"고 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