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후 처음으로 부산을 찾은 이재명 대통령이 해양수산부 이전과 가덕도신공항,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등 지역 주요 현안에 입장을 밝혀 실패로 끝난 2030엑스포 유치에 대해서만 언급했던 윤석열 전 대통령과는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25일 '해양강국의 꿈, 부산을 세계로-부산의 마음을 듣다'는 주제로 부산 부경대학교에서 열린 타운홀 미팅에서 해양수산부 이전 등 부산 지역 공약의 신속한 추진을 재차 약속했다.
이 대통령은 "선거 지나면 다 잊는게 습관이 돼 무슨 얘기를 해도 안 믿는다. 그런데 전 좀 다르다. 한다면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해수부와 해수부 산하기관, 관련 공공기관 출자·출연기관이 최대한 신속하게 부산으로 오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해수부 산하기관 등의 이전 필요성은 지역 사회에서 계속해서 제기됐지만 이 대통령이 공식적으로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대통령이 '연내 이전'에 대한 의지를 확인하듯 "해수부가 연말까지 올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하자 배석한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올 수 있습니다"라고 힘줘 말하는 장면이 보여지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서 "해사법원 설치, 동남권투자은행 설립 문제도 최대한 시간을 줄여 추진하겠다"고 했다.
이날 현장에서는 현대건설의 사업 철수에 따라 좌초 위기에 놓인 가덕도신공항 건설 사업에 우려를 표하는 시민도 있었다. 이에 대해 이 대통령은 "최대한 정상 진행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국가사업이라고 하는 건 잠깐의 문제가 생겼다고 양평고속도로처럼 안 해버릴 수 있는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최근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며 2031년 개통을 목표로 하는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에 대해서는 "자가용이 없어도 편안하게 출퇴근할 수 있는 광역 교통망이 필요하다"며 "착공을 앞당겨보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부산지역의 주요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현안들에 대해 모두 입장을 밝힌 것이다.

이는 지난 2022년 지선을 앞두고 취임 후 처음으로 부산을 찾은 윤석열 전 대통령과 대조되는 모습이다.
윤 전 대통령은 당선인 신분인 4월 22일 부산을 찾은데 이어 지선을 하루 앞둔 5월 31일에도 부산을 찾았다. '선거개입'이라는 야당의 지적을 감수한 일정이었지만 윤 전 대통령이 강조한 것은 실패로 돌아간 2030엑스포 유치 뿐이었다. 당시에도 지역의 주요 현안이었던 가덕도신공항 건설과 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이기도 했던 산업은행 본사 이전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었다.
또 해양수산부 이전 이외의 현안은 시민이 의견을 묻고 이 대통령이 답하는 형태로 전개됐다는 점에서도 대비됐다. 당선인 신분으로 부산을 찾았던 윤 전 대통령은 산업은행 본사 이전과 관련한 지역 언론의 질의에 답하지 않은채 자리를 떠났다.
같은 '첫 방문'이었지만 한 사람은 실패로 끝난 엑스포만 외쳤고 다른 한 사람은 지역 민심에 정면으로 응답했다. 이에 지역 정치권에서는 이 대통령의 이번 행보가 단발성 방문이 아닌 부산 지역 공약 이행을 위한 본격적인 정책 드라이브의 신호탄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