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진주보건대에서 교수가 조교 계좌를 이용해 장학금을 갈취한 사건이 학교 내부 기구에 의해 확인됐음에도 은폐하려 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정의당 진주시지역위원회는 28일 입장문을 통해 "진주보건대 장학금 갈취 사건에 대한 추가 증거자료를 제보받았다"며 "장학금 갈취는 의혹 수준이 아니라 명백한 사건이다"고 밝혔다.
정의당 진주시위원회에 따르면 진주보건대 내부기구인 '인권센터'가 지난해 말과 올해 초 해당 조교와 학생들을 면담하며 장학금 갈취 사건을 공식적으로 확인했다. 인권센터는 조교와 학생들로부터 장학금 갈취에 대한 사실확인서까지 받았으며 이를 총장에게 보고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A교수와 C 전 조교의 전화통화 녹취 파일에서는 장학금 갈취의 구체적 상황이 드러났다. 2024년 3월 A교수가 조교를 그만둔 C씨에게 전화해 "장학금이 들어오면 본인에게 다시 보내달라"고 요구하는 내용이 담겼다.
C 전 조교는 자신의 계좌가 장학금 갈취에 이용되는 것에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아 조교직을 그만두게 된 것으로 보이며 조교를 그만두고 졸업한 후에도 A교수는 계속 연락해 C씨 계좌를 통한 장학금 전송을 요구했다고 전해졌다.
또 다른 학생이 교학처 2처장에게 제보한 문서에는 "교수님 각자가 유치한 장학금을 학생에게로 가 아닌 본인들의 용돈벌이 수단으로 변한 사실에 화가 난다"면서 "부디 우리과와 학교의 이미지를 위해 이런 부정부패한 일들을 근절시켜 달라"라는 호소 내용이 담겼다.
정의당 진주시위원회는 "교학2처가 해당 조교를 호출해 관련 조사를 했지만 해당 교수들에 대한 조사는 아직 알려지지 않고 있다"며 "학교측이 장학금 갈취 사건이 밖으로 알려지면 학교 이미지가 좋지 않을 것을 우려해 조용히 덮고 넘어가려 한 것 아니냐"라고 의혹을 제기했다.
정의당 진주시위원회는 "학생들이나 조교에 대한 2차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교육부가 장학금 갈취 사건에 대해 감사를 빠르게 착수해야 한다"면서 "사립대학에 대한 교육부의 관리감독이 허술한 점이 이런 사건이 일어날 수 있는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재 교육부는 민원이나 제보를 해당 학교에 전달하고 학교 답변을 다시 민원인에게 전달하는 역할에만 머물러 있다"며 "사립대학에 대한 관리감독을 제대로 할 수 있도록 교육부의 의지가 확고하게 정립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의당 진주시위원회는 "학생들을 위한 장학금이 오히려 조직적으로 갈취됐다는 사실에 많은 시민들이 충격을 받고 있다"고 하면서"교육 현장에서 발생한 이 같은 일들이 투명하게 밝혀지고 관련자에 대한 엄정한 조치와 함께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 개선이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