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서남권 발전을 위한 RE100 산업단지 유치를 앞두고,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무안반도 통합론'이 지역 정치권과 주민들 사이에서 뜨거운 감자로 부상하고 있다.
목포신안통합추진위원회(위원장 고석규)와 국립목포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가 공동으로 주최·주관한 '무안반도 통합과 RE100 산단 유치 전략 토론회'가 지난 24일 국립목포대 글로컬스타트업센터 컨벤션홀에서 열렸다.
이날 개회사에 나선 고석규 위원장은 "정부의 RE100 산업단지 특별법 추진은 서남권에 다시 없는 기회"라면서 "이제는 목포·무안·신안이 하나의 무안반도로 통합해 산업 유치 경쟁에서 실질적 우위를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날 토론자로 나선 나광국 도의원은 'RE100'을 명분 삼아 무안·목포·신안을 통합하자는 주장은 행정 효율화와는 거리가 먼, 지역 정체성을 훼손하는 무리수"라며 반기를 들었다.
무안군은 이미 국제공항을 기반으로 하는 물류의 중심지로, 광주 송정에서 연결되는 호남고속철도 연장선이 무안국제공항까지 이어지며, 하늘길과 철길을 모두 갖춘 서남권 유일의 교통 허브 역할을 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농어촌 중심의 군이 아니라, 산업·물류·관광 인프라를 갖춘 '준도시'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는 지적이다.
나 의원의 주장과 궤를 같이해 RE100 산업단지 유치를 빌미로 '행정구역을 합치자'는 주장은 마치 RE100이 통합 없이는 성사될 수 없는 것처럼 호도한다는 여론도 만만치 않다.
정치권의 속내를 의심하는 시각도 있다. 내년 지방선거와 총선을 앞두고 지역 통합이라는 큰 의제를 앞세워 지자체 간 주도권 다툼이 벌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일부 정치인은 RE100을 지역 통합의 지렛대로 활용하려는 듯한 언행을 서슴지 않고 있다.
무안읍에 사는 문모씨는 "기껏 기반시설 다 갖춘 무안에 RE100 산업단지를 유치하면서, 왜 도시 정체성까지 내줘야 하느냐"며 토로했다.
무안반도 통합론이 아직 시기상조라는 주장은 현실적인 이유에서 비롯된다. 세 자치단체의 행정 시스템과 재정구조, 문화와 역사적 배경은 현격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서로 다른 주민들의 요구를 하나의 자치단체가 모두 수용하기는 쉽지 않다.
게다가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행정통합의 실패 사례가 속속 보고되고 있어, 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나광국 전남도의원은 "통합은 주민투표, 국회 법률 제정 등 복잡한 절차로 수년이 소요된다"면서 "하지만 RE100 산업단지는 정부가 2025년 내 시범단지를 선정할 계획이기 때문에 골든타임은 1년 남짓이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시점에서 행정통합 논쟁을 하는 것은 기회를 스스로 포기하는 것"이라면서 "지금 필요한 것은 통합이 아니라 속도와 실행력이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