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의회의 제4기 윤리특별위원회에 비위 논란 의원 3명이 포함된 데 대해 지역 시민단체 협의회가 "도덕 불감증의 극치"라며 즉각 해산과 재구성을 촉구하고 나섰다.
광주경실련·녹색연합·YMCA 등 26개 단체로 구성된 광주시민단체협의회는 29일 성명을 통해 "광주시의회가 윤리특별위원 9명 중 3명을 반윤리 행위로 물의를 빚었던 의원으로 선임해 윤리강령 심사기능의 근본 취지를 무색케 했다"고 비난했다.

협의회가 지적한 문제의 위원은 2024년 음주운전으로 출석정지 20일 징계 후 민주당을 탈당한 심창욱 무소속 의원을 비롯해 불법 수의계약과 법인카드 불법 사용에 따른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검찰 송치된 임미란 민주당 의원, 윤석열 탄핵 정국 속 유흥주점 출입 논란을 빚은 심철의 민주당 의원 등이다.
단체는 "시민의 대의기관이라고 부르기조차 민망한 제9대 광주시의회"라며 "이들이 윤리심사를 맡는 것이 상식적으로 맞느냐"고 비판했다.
협의회는 윤리특별위뿐 아니라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의 무소속 위원장, 국민의힘 부위원장 선출 논란도 꼬집었다.
이들은 "더불어민주당 광주시당은 예결위 위원 9명 중 7명이 자당 소속임에도 무소속이 위원장에 국민의힘 소속 의원이 부위원장으로 선출돼, 해당행위로 관련 시의원 10명을 민주당 윤리심판원에 회부했다"며 "언론보도에 따르면 예결특위 위원장 선출 과정에서 시의원들은 '밀실 쪽지투표'를 했음에도 투표 사실을 감추고 합의추대 형식으로 선출했다고 입을 맞췄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번 사안은 더불어민주당 광주시당의 일당 독점에 따른 도덕적 해이와 민주주의 원칙 위반 민낯을 드러낸 것"이라며 "윤리특위 즉각 해산 및 재구성과 예결특위 위원장 선출 진상규명·책임자 조치를 강력히 요구한다"고 밝혔다.
광주시민단체협의회는 "진상조사와 후속조치가 미흡하면 2026년 지방선거까지 시민사회의 강력한 저항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