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영암군이 대불국가산업단지를 중심으로 RE100산단 조성과 에너지자립 신도시 건설에 본격 시동을 걸었다. 우승희 군수는 29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에너지 지산지소 그린시티 100' 정책을 발표하며 '바로 시작하는 미래, RE100 영암'이라는 슬로건 아래 영암군의 에너지 대전환 청사진을 제시했다.
정부의 'RE100특별법' 제정 기조에 발맞춰 영암군은 국내 산업계의 재생에너지 수요 급증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며, 서남권 경제의 주축인 대불국가산단을 호남권 재생에너지 경제권의 핵심으로 끌어올린다는 전략이다.
우 군수는 대불산단과 인근 삼호·삼포지구 기업도시에 ▲태양광·수소 기반 신재생에너지 허브 ▲해상풍력 기자재 특화단지 ▲에너지자립형 정주도시 조성이라는 3대 전략을 중심으로 RE100산단화를 추진한다는 구상을 밝혔다.
먼저, 610MW 영암호 수상태양광과 1500MW 간척지 태양광 집적화단지를 조성해 오는 2030년부터 대불산단에 전력을 공급하고, 2035년까지 RE100을 달성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미암·삼호지역을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으로 지정받기 위한 절차도 진행 중이다.
또한 왕겨 등 농업부산물을 활용한 바이오수소 생산시설 30기를 구축하고 수소연료전지 기반의 전기·온열공급 시스템을 마련, 태양광의 기상변동 한계를 극복하겠다는 계획이다.
조선업 침체의 돌파구도 마련됐다. 영암군은 해상풍력 기자재 산업을 중심으로 한 특화단지를 조성해, 대불산단 내 조선기업의 업종 전환을 도울 예정이다. 터빈 및 보조설비 관련 기업 유치, 기업지원센터 구축,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국산화 체계도 갖춘다.

RE100산단 활성화로 유입되는 인력의 정주 여건을 위한 '에너지자립 그린시티' 조성도 추진된다. 이는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지역공약인 '대한외국인 행복도시'와 연계해 주거·교육·문화 인프라를 종합적으로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다.
혁신도시 시즌 2의 모범사례를 만들어, 지방 이민청 신설과 글로벌 에너지 인재 육성까지 아우르는 대형 프로젝트로 키운다는 복안이다.
영암군은 지난해부터 분산에너지 포럼 개최, RE100 비전 선포, 기업 업무협약 체결 등으로 관련 정책을 차근히 밟아왔다. 현재는 '에너지 자급자족 인프라 구축', '분산에너지 VPP(가상발전소) 플랫폼 사업'을 통해 실증 기술도 축적 중이다.
지난 18일에는 'RE100 TF'를 구성하고, 호남권 HVDC(고압직류송전망) 확충 등 핵심 과제도 본격 검토 중이다. 조만간 '그린시티 100 추진단'도 출범할 예정이다.
우승희 군수는 "재생에너지 최적 입지와 기술축적 경험을 갖춘 영암군이 RE100과 에너지신도시의 최적지"라며 "정부는 대불산단을 RE100산단으로 지정하고 대기업 유치에 적극 나서 달라"고 요청했다.
이어 "영암에 맡겨 주신다면, 이재명 정부의 에너지 대전환과 국가균형발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반드시 잡아낼 것이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