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으로부터 당원 자격정지 1년의 중징계를 받은 박용준 목포시의원은 "주민의 안전을 위해 목소리를 냈던 일이 정치적 희생양이 됐다"고 주장하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박 의원은 31일 기자회견을 열어 지난 22일 목포 평화광장 갯바위에서 열린 해양 쓰레기 청소활동과 관련한 갈등과 이후 당내 징계 과정을 공개하며 "정당한 의정활동이 왜곡된 보도와 정치적 공작에 의해 징계로 이어졌다"고 비판했다.
당시 현장에서 박 의원은 목포시 부시장에게 막말하며 항의했다는 이유로 민주당으로부터 징계를 받았다.
박 의원은 "당일 현장은 경사가 심하고, 구명조끼 등 안전장비도 갖추지 않은 상태였다"며 "특히 고령의 주민들이 동원된 상황에 대해 부시장에게 문제를 제기했다"고 설명했다.
당시 박 의원은 부시장에게 "사고 나면 책임질 수 있느냐"고 물었고, 돌아온 답은 "법적인 테두리 안에서 책임지겠다"는 말이었다. 이에 박 의원은 "시민 안전보다 행정의 체면을 우선하는 전형적인 전시행정"이라고 규정했다.
그는 "사고가 날 수 있는 곳에 안전 장비 없이 주민을 동원한 것은 누가 봐도 부적절하다"며 "시의원으로서 제 역할을 한 것일 뿐인데, 목소리를 높였다는 이유로 '막말', '갑질'이라는 낙인을 찍혔다"고 주장했다.
또 지역 언론 보도의 배경에 대해 "현장에 없었던 기자들이 일방적인 보도를 한 것은 시청의 언론플레이가 아니고서는 불가능하다"며 "경찰 수사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문제의 청소활동에 앞서 부시장이 인원동원을 지시한 공문과 카카오톡 메시지를 제시하며 "부시장은 이를 부인했지만, 본인의 서명이 확인된 공문이 존재한다. 만약 모른다면 서명은 누가 한 것이냐"고 반문했다.
이번 징계 과정에서 더불어민주당 내부의 절차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했다.
박 의원은 "목포지역위원회는 '우리는 진상보고서를 올린 적 없다'고 했고, 김원이 지역위원장은 '모르는 일'이라고 했다"며 "그러나 전남도당과 중앙당은 징계를 확정했다. 도대체 누가 거짓말을 하고 있는 것이냐"고 강하게 반문했다.
특히 "징계를 당하면서도 단 한 차례 소명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았다"며 절차적 정당성에도 문제를 제기했다. 이어 "당이 이같이 일방적이고 불투명하게 징계를 결정한다면, 앞으로 어떤 시의원이 시민의 안전을 위해 목소리를 낼 수 있겠는가"라며 "지방자치와 풀뿌리 민주주의에 심각한 훼손"이라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만약 제 발언이 사리사욕을 위한 것이었다면 이번 징계가 아니라 영구제명도 수용하겠다"며 "그러나 저는 오직 시민의 안전을 위한 정당한 의정활동을 했을 뿐"이라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