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정연구원이 '전주 생태관광의 가능성과 과제'에 대한 연구과제를 제시한 날, 환경단체는 전주시의 민간공원 특례사업이 난개발과 특혜의혹으로 얼룩졌다며 전면 재검토를 촉구하고 나섰다.
전주시정연구원은 31일, '전주 도심형 생태관광의 가능성과 과제'를 제안한 '이슈브리프 제8호'를 내면서 "코로나19 이후 관광 수요가 지속가능성과 체험,로컬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또한 도심 속 숲과 하천, 공원에서 자연과 문화에술을 결합한 복합형 여가 활동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국내에서도 자연과 문화를 보전하면서 지역사회에 경제적 이익을 제공하는 지속가능한 관광형태인 생태관광에 주목하면서 정부와 각 지자체에서도 생태관광 지역을 지정하는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히면서 전주시의 우수한 도심 생태자원(만경강,건지산,삼천 등)을 역사.문화 자원과 연계한 도심형 생태관관 모델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연구원은 전북자치도가 추진해 온 광역 차원의 생태관광 정책과 연계해 전주시가 생물문화다양성을 중심으로 한 지속가능한 생태관광 전략을 마련하면 새로운 관광 수요를 창출하고 지역 관광의 질적 전환을 이끌 수 있다고 제시했다.
이날 전북환경운동연합은 성명을 내고 "전주시가 도시공원 일몰제의 대안으로 추진 중인 민간공원 특례사업이 난개발과 특혜의혹으로 얼룩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특히 전주시가 공원부지 매입에 미온적으로 대처하면서 공원 축소 위기를 자초했으며 재정 부족을 핑계 삼는 사이에 개발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민간업자들이 토지를 매입하고 민간특례사업을 제안하는 등 사익 추구의 장이 되고 말았다고 성토했다.
이 단체는 전체 부지 가운데 개발면적을 10% 이내로 엄격히 제한하며 공공성 확보를 최우선 기준으로 적용한 광주광역시와 경기도 일부 지자체를 예로 들면서 보건 가치가 높거나 민원 발생 가능성이 큰 지역 일수록 개발을 최소화하는 것인 원칙일텐데 전주시는 이러한 선진 사례들을 외면하고 덕진공원의 공공적 기능을 포기하려는 것인지 물었다.
전북환경운동연합은 "시민의 권리이자 미래세대의 자산인 도시공원과 도시 숲을 지키고 민간공원 특례사업이 시민의 이익이 아닌 특정 사업자의 배만 불리는 사업으로 변질되는 것"을 막기 위해 "개발면적을 10~15% 수준으로 대폭 낮춰 재협상하고 사업의 공공성을 최우선 가치로 삼을 것"을 촉구했다.
또 사업자 선정 과정의 위법성 의혹을 철저히 규명할 것을 비롯해 사업 부지 내 수상한 토지거래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공정한 감정평가가 이뤄지도록 투명한 절차를 확립할 것을 요구하고 이어 덕진공원과 건지산 일대의 생태적 가치 보전과 시민 이용 편의성 극대화를 위한 장기적인 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예산을 확보할 것"도 촉구했다.

이 단체는 또 지난 27일, 전주시가 "전주천 생태서식지 평가에서 가장 높은 권역에 해당되는 한벽당과 생태박물관 일대의 수변 갈대와 물억새를 모조리 베어냈다"면서 "지난 2023년 겨울, 하도 준설로 인해 많은 모래와 자갈을 퍼내고 갈대와 작은 나무들을 잘라내 환경단체의 거센 항의를 받은 바 있는데, 이제 서서히 생태계가 자리를 잡아가려는 시기에 또다시 예초기를 돌려 그동안의 회복을 무력화시켰다"며 강력히 비난했다.
전주천 한벽당 구간은 '전주천의 심장'으로 도시하천 상류에 해당하며, 여울과 소(깊은 웅덩이), 모래톱과 자갈톱, 달뿌리풀과 물억새, 갈대, 버드나무가 어우러져 하천의 자연성을 가장 잘 유지하고 있는 곳으로 평가받던 곳이다.
특히, 천연기념물인 수달과 원앙, 황조롱이, 삵 등 멸종위기종의 핵심 서식지이자, 우리나라 고유종인 쉬리의 안정적인 서식처로 기능하는 생태서식지 평가가 매우 높은 곳으로 승암산 자락과 이어지고 좌안에 자투리 숲이 남아있고, 한옥마을과 어울려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던 곳이기도 하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