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경제계가 31일 발표된 한-미 관세협상 타결에 대해 "최악의 상호 25% 관세 부과를 피한 것은 다행이지만 15% 관세도 결코 낮지 않아 기업 부담이 크다"는 공동 우려와 당부를 밝혔다.
광주경총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25% 관세라는 파국은 막았지만 15% 관세도 결코 낮지 않아 자동차 등 광주 주력산업의 경쟁력 약화가 우려된다"며 "정부는 전기차, 수소차 등 미래차 관련 R&D 등 지원책 마련에 즉각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미국의 거센 요구에도 쌀과 소고기 등 우리 농축산물 시장의 추가 개방을 막아낸 것은 이번 협상의 중요한 성과"라며 "3500억달러에 달하는 대미 투자가 지역기업의 새로운 시장 개척의 기회로 이어질 수 있도록 체계적 지원과 정책적 뒷받침도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광주상공회의소 역시 "불확실성 해소와 산업피해 최소화라는 점에서는 의미 있는 성과"라면서도 "FTA 기반 무관세 체제에서 갑자기 15% 관세가 도입되면 국내 완성차 공장과 협력업체, 전체 고용과 투자에도 부정적 영향이 불가피하다"고 아쉬움을 밝혔다.
특히 "그간 무관세던 한국차와 2.5% 관세가 적용됐던 일본·유럽산 차량도 15%로 일괄 적용돼 국내 기업에 신규 부담이 집중된다"며 "피해 업종에 대한 경영·고용안정 금융지원, 혁신 R&D 투자 확대 등 전방위 지원을 바란다"고 요청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