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도권 지자체의 '인구절벽 현상'이 심화하고 있는 가운데 전북자치도 익산시의 인구 순유입이 올해 7월까지 500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분석돼 그 비결에 관심이 쏠린다.
1일 익산시에 따르면 올 7월말 현재 주민등록상 인구는 26만7659명으로 한 달 동안 41명이 순증했다.
익산시의 월중 인구변화는 신학기와 새해 직장 문제로 젊은이들이 대거 수도권행을 택하는 1~2월 중 감소현상을 겪었지만 이후 3월부터 꾸준히 증가세를 유지해왔다.

전·출입만 따지는 '인구 순이동'만 놓고 보면 익산에서 보따리를 싸서 타지역으로 나가는 전출인구보다 수도권이나 충청권 등 타지역에서 익산시로 주소를 옮기는 전입인구가 훨씬 더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로 올 들어 7월말 현재 익산시의 전입인구는 총 2만4103명을 기록한 반면 전출인구는 2만3617명에 만족해 전입이 486명 더 많은 이른바 '전입초과 현상'을 나타냈다.
주택이나 직업 문제로 인근 지역에서 익산으로 주소지를 이전하는 순유입이 500명에 근접했다는 말이다.
올해 7월의 경우 전입인구가 2831명에 달해 전출(2695명)보다 130여명 더 많았고 사망(207명)과 출생(102명)의 자연감소를 극복해 낸 것이다.
익산시의 경우 한 해 출생은 1000명 안팎인 반면에 사망은 2500명 내외에 달해 출생아수에서 사망자 수를 뺀 '자연감소'가 적잖은 실정이다.
2022년 1760여명에 달했던 익산시의 자연감소는 작년에도 1500여명을 기록하는 등 구조적인 문제로 고착화해 전체적인 인구감소의 주원인으로 풀이된다.
익산의 인구 순유입 증가는 자연감소를 극복한 '사회적 증가'에서 비롯한다는 점에서 국내 비수도권 지자체가 공히 부딪혀 있는 '인구절벽'의 해법을 제시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민간공원 특례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통한 신규 아파트 공급 등 주거환경을 대폭 개선하고 신혼부부를 비롯한 2030세대의 맞춤형 주거지원 등이 MZ세대를 흡입하는 동력이라는 해석이다.
식품산업 고도화에 이어 바이오융합산업까지 미래 성장동력을 확충해가며 2030세대의 유입을 늘려가는 것도 '인구 순유입'의 배경이라는 설명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만경강 수변도시 조성 등 10년 앞의 미래를 내다보고 정책을 추진하는 선제적 대응 전략도 인구 유출을 막는 방파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견해도 나온다.
하지만 과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올 들어 7월말까지 익산시의 '시·도 간 전출'은 6200여명을 기록한 반면에 다른 광역단체에 살다가 익산시로 들어온 '시·도 간 전입'은 5600여명에 만족해 '타 시·도 전출 차단'이 중단기적 과제로 등장했기 때문이다.
'시·도 간 인구이동'은 대규모 아파트 단지 등 지역 내 변수에 매몰되지 않고 상주인구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익산시 차원에서 공을 들어야 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사회단체의 한 관계자는 "익산시의 '도외 전출'은 교육과 직업 문제로 인한 수도권 이동이 상당수에 달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식품 등 특화분야의 기업유치를 확대하고 일자리 창출 기반을 넓혀가는 등 '수·충권 인구유입'을 위한 근본적인 숙제를 풀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