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안호영 국회의원(완주·진안·무주)이 완주·전주 행정통합 추진을 둘러싼 갈등에 우려를 표하며, 이를 대체할 대안으로 ‘전북형 100만 메가시티’ 구상을 제안했다.
정치적 목적의 통합이 아닌, 주민 숙의와 광역 협력을 바탕으로 한 지속 가능한 지역발전 모델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안 의원은 4일 전북도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치는 갈등을 조장하는 것이 아니라 해소하는 것이어야 한다”며 “지금의 통합 논의는 도지사의 주소지 이전, 전주시장의 현장 여론전 등으로 인해 정치쇼라는 비판을 자초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행정통합은 단순한 행정구역 조정이 아니라, 주민의 삶과 자치권, 지역 정체성까지 바꾸는 중대한 사안”이라며 “충분한 공론화 없이 추진되는 현재의 방식은 도민 간 갈등을 심화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통합의 효과와 문제점에 대한 연구조차 이뤄지지 않았고, 전북도는 자체 여론조사 결과조차 공개하지 않고 있다”며, 절차적 정당성과 주민 신뢰 확보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최근 여론조사에서 완주군민의 65%가 통합에 반대하고 있다는 결과와 관련해 그는 “공감 없이 밀어붙이는 주민투표는 실패할 수밖에 없으며, 그로 인한 분열과 혼란의 책임은 결코 가볍지 않다”고 경고했다.
이날 안 의원은 통합 갈등을 넘어설 대안으로 전주·완주·익산을 하나의 생활·경제·교통권으로 묶는 ‘전북형 100만 메가시티’ 구상을 제안했다. “광역교통망 구축과 산업클러스터 형성, 교육·연구기관 및 공공기관의 분산 배치를 통해 100만 경제권을 조성하겠다”는 구상이다.
그는 이 계획이 수도권 과밀 해소와 지방소멸 대응을 위한 이재명 정부의 ‘5극 3특’ 국가균형발전 전략과도 부합한다고 설명했다.
안 의원은 또한, 지방자치법 개정으로 신설된 ‘특별지방자치단체’ 제도를 활용하면 각 자치단체의 자율성을 유지하면서도 협력적 거버넌스를 구현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자치권 침해 없이도 산업 발전과 행정 협력이 가능한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어 있다”는 설명이다.
그는 전북이 보유한 전략 산업 거점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할 필요성도 강조했다. “RE100 새만금 국가산단, 국가식품클러스터, 완주의 수소산업, 전북 국가AI산단 등 주요 거점을 익산 중심의 광역교통망과 연계하면, 서해안과 내륙을 아우르는 광역경제권으로 성장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안 의원은 “정치는 방향을 제시하되, 결정은 주민이 해야 한다”며 “전북의 미래는 도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대안과 충분한 숙의의 장이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