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17일 대구 노곡동을 덮친 침수 피해는 단순 자연재해가 아닌 ‘예고된 인재(人災)’로 드러났다.
고장난 수문 방치, 제진기 작동 실패, 관리주체 이원화 등 총체적 관리 부실이 원인으로 밝혀졌다.

노곡동 침수사고 조사단은 4일 발표한 조사 결과에서, 지난 달 17일 집중호우로 발생한 침수사고의 주요 원인을 ‘방재시설 고장과 운영관리 부실’로 지목했다.
조사단은 자연재해 대응의 허점을 고스란히 드러낸 이번 사고가 충분히 예방 가능한 인재였다고 밝혔다.
가장 큰 원인은 직관로 수문의 미개방이다. 평상시 100% 개방돼야 할 수문이 고장으로 인해 3.18%만 개방돼 배수기능을 상실했고, 유입된 유송잡물은 제진기를 막아 침수 피해를 가중시켰다.
또한, 상류에서 내려온 토사와 잡목 등으로 제진기의 작동이 늦어지면서 우수가 배출되지 못했고, 고지 배수로 침사지의 수문 운영 기준도 지침과 어긋났다는 것도 문제로 지적됐다.
“상류 산지 유역 물은 자연배수, 하류는 펌프로 강제배수하라는 원칙이 무시됐다”는 게 조사단의 설명이다.
시설물 관리체계의 이원화도 침수 피해를 키운 요인으로 나타났다. 전국 유사 시설 39곳 중 37곳은 기초지자체가 일괄 관리하는 반면, 노곡동은 대구시와 북구청이 나눠 운영 중이다. 전문가들은 “이처럼 분산된 관리체계는 긴급 상황에서 혼선을 야기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조사단은 ▲수동 운영 펌프장의 자동제어 시스템 도입 ▲배수펌프장 인력 강화 ▲우기 대비 긴급 점검 ▲상류 지역 부유물 차단시설 설치 ▲통합관제시스템 구축 등을 단기·중기·장기 대책으로 제시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