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완주 간 행정통합 논의가 지역민의 거센 반발에 부딪히고 있다. 최근 세 차례에 걸쳐 실시된 여론조사에서 모두 반대 응답이 과반을 넘긴 가운데, 완주군의회는 “군민의 뜻은 분명하다”며 전주시와 전라북도에 일방적 통합 추진의 즉각 중단을 촉구했다.
완주군의회(의장 유의식)는 4일 성명을 내고, “통합 논의는 주민의 동의와 신뢰 없이 추진될 수 없다”며 “군민의 자치권과 지역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끝까지 싸우겠다”고 밝혔다.
군의회가 인용한 가장 최근 여론조사는 <완주신문> 의뢰로 여론조사기관 데일리리서치가 8월 1~2일 실시한 결과다. 완주군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통합 반대’는 71.0%, 찬성은 25.9%, ‘모름’은 3.2%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도 반대 여론은 △삼례·이서 62.7% △구이·소양·상관 60.9% △봉동·용진 78.3% △고산권 86.8% 등 모든 권역에서 절반을 웃돌았다.
반대 이유로는 △복지혜택 축소 우려(26.8%) △혐오시설 이전 가능성(21.2%) △예산 감소(18.1%) △지역 소멸 우려(17.6%) 등이 주로 꼽혔다.
앞서 7월 23~24일, 코리아정보리서치가 케이저널 의뢰로 실시한 조사에서도 반대는 65.0%, 찬성은 30.7%로,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해당 조사에서 자치권 약화와 복지 축소에 대해 “불안을 느낀다”는 응답은 63.8%에 달했으며, 그중 “매우 우려한다”는 응답이 46.7%를 차지했다.
눈에 띄는 점은, 통합 찬성 측 단체인 ‘완주전주통합청장년추진위원회’가 2023년 8월 자체적으로 진행한 여론조사에서도 응답자의 66%가 반대, 찬성은 30%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이는 통합에 대한 회의적 시각이 특정 조사에 국한되지 않고 광범위하게 형성돼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될 수 있다.
‘완주군의 발전 방향’에 대한 질문에서도 ‘독자적 발전’이 바람직하다는 응답은 60.5%로, ‘행정통합’ 선호 응답(30.9%)의 두 배에 가까웠다. 군의회는 이를 “일시적인 반발이 아니라 구조적인 여론 흐름”으로 해석하고 있다.
유의식 의장은 이날 성명을 통해 “정치적 성과나 행정 효율만을 앞세운 통합 시도는 군민의 권리와 지역 정체성에 대한 도전”이라며 “김관영 도지사와 우범기 전주시장이 군민의 뜻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이어 “지방자치와 분권은 시대적 과제”라며 “통합은 일방적 추진이 아니라, 자발적 동의와 신뢰가 전제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완주군의회는 지난 6월 통합 반대 삭발 기자회견을 시작으로, 7월에는 전북도의회에 토론회를 제안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군민 여론을 전달하고 있다.
한편 이번 조사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에 등록된 정식 조사로,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이며,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