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가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실질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보조기기 통합지원체계를 확대하고 있다. 단순한 기기 교부를 넘어, 상담·평가·대여·사후관리 등 전 과정을 포괄하는 구조로 운영되며, 접근성 강화와 현장 체감도를 높이겠다는 방침이다.
전북도는 올해 총 4억6,700만 원(국비 60%, 지방비 40%)의 예산을 투입해 ‘전북보조기기센터 운영 및 시군 보조기기 교부사업’을 추진 중이다. 상반기에는 도내 등록장애인 171명이 이 사업을 통해 휠체어, 보청기, 점자정보단말기 등 보조기기를 지원받았다. 대상은 중증장애인, 저소득층, 기기 노후화로 교체가 필요한 대상자 등 우선순위에 따라 선정된다.
전북보조기기센터는 단순 교부를 넘어 통합적 지원체계를 운영 중이다. 올해 상반기 기준으로 △보조기기 상담·정보 제공 861건(상담 768건, 체험 93건), △맞춤형 지원 326건(대여 87건, 제작 14건, 평가 225건), △사후관리 82건, △교육 및 홍보 18건 등 다각적인 지원을 수행했다.
도는 특히, 보조기기 활용 이후 단계까지 관리 범위를 확장하고 있다. 기기 사용법 교육, 유지·보수, 사용 중 불편사항 상담 등을 통해 실질적 활용률을 높이고, 장애인의 생활자립 기반을 뒷받침하겠다는 의도다.
보조기기 지원 신청은 주민등록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상시 가능하며, 전북보조기기센터를 통해 사전 상담도 병행할 수 있다.
윤효선 전북도 장애인복지정책과장은 “보조기기는 단순한 편의기기가 아니라 이동과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기본 수단”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수요를 반영해 품목 다양화, 정보 접근성 강화, 시군 간 협력 확대 등을 통해 장애인의 권익 향상과 자립 지원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전북도는 하반기에도 신청자 수요와 현장 피드백을 바탕으로 지원 품목과 체계를 보완하고, 보조기기가 ‘정책 대상’이 아닌 ‘삶의 기본권’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이어갈 계획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