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시가 교육부의 ‘글로컬대학30’ 본지정 선정을 앞두고 지역 대학들과의 실행계획서 최종 점검에 돌입하며 막바지 총력전에 나섰다.
대전시에 따르면 충남대학교와 국립공주대학교(통합형), 한남대학교, 한밭대학교 등 지역 내 3개 대학은 오는 11일까지 교육부에 본지정 신청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이후 8월 말 본지정 평가를 거쳐 9월 중 최종 선정 대학(10개 이내)이 발표되면 ‘글로컬대학30’ 사업의 본지정 절차가 마무리된다.
이번 공모에는 충남대-공주대가 ‘충청 지산학연 협력 혁신 플랫폼’ 구축을 목표로 통합형 모델을 공동 신청하고 한남대는 창업교육 특화 역량을 바탕으로 ‘K-스타트업 밸리’ 조성 구상을 한다.
한밭대는 AI전환-유지보수정비(AX-MRO) 및 국방반도체 분야에 특화된 ‘글로컬 인재양성 허브 대학’ 모델로 각각 단독 신청에 나선다.
대전시는 6월부터 전략적 지원체계를 가동하고 대학별 태스크포스(TF) 강화, 유관기관과의 협력체계 구축 등 다각적인 지원을 펼쳐왔다.
특히 4~5일 이틀간 대학별 맞춤형 현장 회의를 진행하며 실행계획서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주력했다. 이 자리에는 시 관련 부서와 혁신기관 전문가들이 참여해 특성화 전략, 지역 연계성, 평가 기준 충족 여부 등을 점검했다.
정무적 대응도 이어졌다. 지난 7월25일 고현덕 대전시 교육정책전략국장은 3개 대학 기획처장들과 함께 국회 교육위원회 및 지역구 의원실을 방문해 지역 안배의 필요성과 지역대학 육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고현덕 국장은 “각 대학이 수개월 간 준비한 실행계획이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마지막까지 힘을 보태겠다”며 “대전시도 교육도시로서의 미래를 위해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