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은 조현 외교부 장관이 미국 <워싱턴포스트(WP)> 인터뷰에서 '동북아에서 중국이 이웃 국가들에 다소 문제가 되고 있다'고 언급한 데 대해 "우리는 굳건한 한미동맹을 기반으로 한중관계 발전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은 5일 "조 장관의 발언은 한중간 일부 사안에 이견이 있더라도, 민생 및 역내 안정과 번영에 기여하는 한중관계를 만들기 위해 지속 노력하겠다는 취지의 언급"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대통령실은 "조 장관은 중국과의 관여 필요성을 관련국들에게 제기하고 있다는 점도 강조했음을 살펴봐달라"고 부연했다. 조 장관의 인터뷰 내용이 일각에서 논란이 되자 대통령실이 해명에 나선 모양새다.
앞서 조 장관은 지난 3일(현지시간) 공개된 WP 인터뷰에서 북한과 러시아의 군사협력 등 지정학적 변화에 관해 이야기 하며 "동북아에서 중국은 이웃 국가들에 다소 문제가 되고 있다(China becoming somewhat problematic with its neighbors)", "우리는 중국이 남중국해와 서해에서 해온 일들을 봤다. 경제적으로도 중국은 너무 잘, 너무 빠르게 발전해 경쟁자가 됐다"고 언급했다.
조 장관은 "우리는 중국의 부상과 도전을 꽤 경계하게 됐다"며 "하지만 우리는 중국에 '우리는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싶으며 중국이 양자뿐만 아니라 역내 현안에서도 국제법을 준수하는 것을 보고 싶다'는 메시지를 보내려 한다"고 했다.
주한 중국대사관은 전날 "중국은 주변국들과 모두 양호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절대다수 주변국도 중국과의 우호 협력을 강화하는 것을 외교의 우선 방향으로 삼고 있다"고 조 장관의 주장에 반박하는 취지의 입장을 냈다.
이재웅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조 장관의 인터뷰와 관련해 중국 측이 한국에 우려를 표명해 온 것이 있느냐'는 질문에 "중국과는 제반 사안에 대해서 수시로 소통하고 있다. 다만 특정 사안에 대해서 소통이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확인드리기 어렵다"고 답했다.
조 장관이 중국에 국제법 준수를 강조한 것은 중국이 국제법을 어기고 있기 때문이 아니라 '앞으로 잘 지켰으면 좋겠다'는 취지의 언급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조 장관은 또 중국의 서해 구조물 설치와 관련해서는 한국의 국익을 지키기 위해 중국에 명확한 입장을 전달할 필요가 있다는 인식과 함께, 이러한 입장 전달이 당장 중국에는 불편할 수 있으나 이 때문에 한중관계가 긍정적 방향으로 발전할 수 없다는 것은 아니라는 취지로 이야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