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완주군 봉동읍 구암리에 추진 중인 대형 폐기물 소각시설 설치를 둘러싸고 지역사회의 반발이 커지는 가운데, 김관영 전북도지사가 “주민 수용성 확보가 우선”이라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김 지사는 5일 도청에서 김호은 전북지방환경청장과 면담을 갖고, 소각시설 인허가를 둘러싼 주민 우려와 반대 여론을 전달하며 “지역 건강권과 환경문제를 감안해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면담은 전북환경청이 해당 시설의 환경영향평가 및 인허가 권한을 가진 주무기관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김 지사는 “해당 부지는 삼봉·둔산지구 등 주거지와 인접해 있고, 공원묘지와도 가까워 주민 우려가 심각한 상황”이라며 “시설의 입지 타당성과 설치 필요성에 대한 의문이 해소되지 않은 만큼, 행정의 일방적 절차 진행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논란이 되고 있는 폐기물 소각시설은 일일 처리 용량 189.6톤 규모로, 지난해 6월 사업자가 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전북지방환경청과 완주군에 접수한 이후 주민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연간 처리 계획량이 완주군 내 폐기물 발생량을 훨씬 웃돌아, 외부 폐기물의 대량 반입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완주군에 따르면 관내 발생 일반·지정폐기물량은 사업자의 처리 계획량의 약 14% 수준에 불과하며, 인근 전주·익산 소각시설도 이미 충분한 처리 능력을 갖추고 있어 신규 시설의 필요성이 낮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김 지사는 “행정은 도민의 삶 가까이에서 문제를 듣고, 해결해 나가야 한다”며 “이번처럼 민감한 환경 사안일수록 철저한 검증과 주민 신뢰 회복이 선행돼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한편 이날 면담에서 김 지사는 소각장 문제 외에도 △예산 확보 등 새만금 환경생태용지 조속 조성 △2026년 국가예산 확보 관련 사전 행정절차 처리 및 공동 대응 등 다양한 환경 현안에 대한 협조도 요청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