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본회의장에서 차명 주식거래를 한 의혹으로 이춘석 전 법제사법위원장이 더불어민주당에 탈당계를 제출하고 상임위원장직도 사임한 가운데, 민주당에서도 이 의원에 대한 비판과 자성의 목소리가 나왔다.
지난 대선 시기 국민의힘을 탈당하고 민주당에 입당한 김상욱 의원은 이날 한국방송(KBS) 라디오 인터뷰에서 "국민들께 참 송구하고 안타까운 마음"이라며 "이재명 정부의 국정 운영에 부담이 되지 않을까 염려도 앞선다"고 했다.
김 의원은 "이것은 사실 변명의 여지가 없는 절대적 잘못"이라며 "(이 의원은) 국정기획위원회 경제분과 소속이고 또 법사위원장 자리에 있던 분이다. (미공개)정보를 이용한 거래일 개연성이 지금 의문이고, 또 신고되지 않은 재산으로 거래를 했을 개연성이 있다. 국회의원은 주식 백지신탁을 해야 하는데 그것도 하지 않은 것이고, 또 무엇보다 보좌관 명의로 차명 거래를 한 것"이라고 조목조목 비판했다.
김 의원은 "법사위원장이기 때문에 다른 국회의원들보다 더 높은 도덕성을 요구받는 자리인데도 그렇게 했다"며 "일어나서는 안될 일이 벌어졌고 너무나 부끄러운 도덕적인 결함이 있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국가 정보를 가지고 개인의 부를 추구하려는 행위는 용납할 수 없는 행위"라고도 했다.
그는 이 의원 측에서 당초 '보좌진 휴대전화를 잘못 가져간 것'이라고 해명했던 데 대해 "부끄러웠다"며 "말하기 곤란하면 차라리 침묵을 하거나 국민들께 죄송하다는 사과를 하는 것이 맞지, 납득하기 어려운 변명을 하는 것은 국민들께 또 한 번 실망감을 드리는 일이고 또한 이재명 대통령께도 부담이 될 수 있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다만 "(이 의원이) 하루 만에 탈당하고 위원장직도 사임했고, 정청래 신임 민주당 대표가 의원들에게 '도덕적 기강을 잡겠다'고 선언하고 구체적인 준비 절차에 들어간 것으로 안다"며 "어쨌든 그 일에 대한 대처는 신속하게 최선의 방법으로 되고 있지 않나"라고 부연했다.
그는 "이 의원의 탈당으로 '꼬리 끊기'가 돼서는 안 된다"며 "이번 일을 계기로 모두가 더 겸손하게 스스로를 되돌아보고 더 엄한 잣대로 그런 행위가 일어나지 않도록 경계하는 자성의 계기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후속 조치에 대해 "(이 의원이) 국회의원 신분이기 때문에 사실은 국회 윤리위원회에서 이걸 다루는 것이 필요하다"며 "윤리위가 국민들께서 받아들일 수 있는 형태로 빨리 구성될 필요가 있다"고 해 눈길을 끌었다.
민주당 권칠승 의원도 같은 방송 인터뷰에서 "같은 여당 소속 의원으로서 매우 곤혹스럽고 국민들께 정중하게 사과를 드린다"는 입장을 밝혔다.
권 의원은 "본인이 '차명 거래는 아니다'라고 해명했지만 국민들 눈높이에서 볼 때는 부족한 점이 있다고 본다"며 "탈당한다고 면죄부가 되는 건 아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수사 등 사실관계를 파헤치는 과정들이 뒤따를 것이고 그 사실관계에 맞는 조치들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