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검색엔진 구글이 최근 국내 일부 지역의 날씨 서비스에서 ‘일본해(동해)’라는 표기를 앞세운 것이 알려지며 논란이 일고 있다.
구글은 현재 한국 정부에 고정밀 지도 데이터를 해외 서버에 반출할 수 있게 해달라고 요청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자국 정서를 고려하지 않는 행보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최근 “휴가철을 맞아 동해안을 찾은 많은 누리꾼들의 제보로 구글 날씨 서비스에 ‘일본해(동해)’ 표기가 선행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문제를 제기했다.

구글은 국가마다 영유권 등 이견이 있는 지명 표기 시, 접속자의 국가 기준을 따르도록 하는 방침을 운영해 왔다.
동해의 경우도 한국 내에서는 ‘동해’, 일본에서는 ‘일본해’로 표기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번 날씨 알림 서비스에서는 한국 접속자에게도 ‘일본해’를 먼저 노출하며 구글 스스로의 원칙도 어겼다는 지적이다.
서 교수는 “진정한 글로벌 기업이라면 해당 국가의 역사적 맥락과 국민 정서를 존중해야 한다”며 “이 같은 일방적 표기는 한국 국민에 대한 무시이며, 정부 차원의 강력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구글은 과거에도 ‘독도’를 검색해도 결과가 나오지 않거나, 한국과 일본 외 국가에서는 ‘리앙쿠르 암초(Liancourt Rocks)’로 표기하는 등 민감한 지역 명칭 문제에서 정치적 중립을 이유로 실질적 회피를 해왔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본해’ 표기가 다시 논란이 되며, 구글의 한국 관련 지역정보 처리 기준의 신뢰성이 도마 위에 올랐다.
문제는 이러한 논란이 구글이 현재 한국 정부에 고정밀 지도 데이터 반출 허용을 요청한 시점에 불거졌다는 점이다.
구글은 자율주행·AR 등 미래 기술에 필요한 정밀지도 서비스를 한국에서도 제공하고자, 지도 데이터를 해외 서버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허용해 달라고 정부에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한국은 군사보안 등을 이유로 고정밀 지도 반출을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의 역사적·지리적 정체성을 존중하지 않는 표기 논란이 재점화되자, 구글이 한국 시장에서의 이익은 추구하면서 현지 문화와 민감성을 외면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구글이 한국에서 정밀 지도 서비스 제공을 원한다면, 그에 앞서 한국 사회의 정서와 입장을 존중하는 진정성 있는 태도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경덕 교수는 “이번 표기 논란을 계기로 우리 정부도 구글에 대해 단호한 입장을 보여야 한다”며 “구글이 단지 기술적 편의성이나 글로벌 기준만을 내세우는 것이 아니라, 한국이라는 주권국의 역사와 감정을 존중하도록 제도적 압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