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는 “경기도에서 친환경급식이 후퇴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7일 경기도에 따르면 김 지사는 이날 학교급식 식재료 구매방식을 놓고 대립하고 있는 경기도교육청과 시민사회단체 공동대책위원회 간 갈등 중재에 나섰다.

김 지사는 전날 임태희 교육감에 전화를 걸어 경기도는 도교육청의 지침을 수용할 수 없다는 뜻을 분명히 밝혔으며, 학교급식 식재료 구매 방식 개선 조치의 보류를 요청했다. 공동대책위원회와 함께 하겠다는 의사도 전했다.
이어 김 지사는 이날 오전 경기도교육청 앞에서 열린 ‘경기도교육청 학교급식 식재료 구매방식 변경지침’ 규탄대회에 함께 해 공동대책위 의견에 대한 지지의사를 분명히 했다.
김 지사는 이후 공동대책위와 도청 집무실에서 면담을 갖고 친환경 농가와 학교, 학부모들과 안정적 학교급식 공급 방안에 대해서 의견을 나눴다.
그는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들의 건강을 위해 가장 안전한 식단을 제공해야 된다는 것"이며 "이는 친환경농가의 지원을 위해서라도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학생들의 건강을 경제적 효율성으로 따질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입찰이 단기적 효율성이 있어보일 수는 있지만 학교급식의 거버넌스나 시스템이 무너지면 가격을 장담할 수 없어 장기적으로는 이익이 없다”면서 “도, 교육청, 시민단체, 학부모 도의회까지 지금까지 쌓아온 협치의 인프라를 한순간 무너뜨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경기도가 예산지원, 예산의 우선순위 조정 등 해결 방안을 강구 하겠다”고 약속했다.
김 지사는 공동대책위와의 면담을 마친 뒤 임태희 교육감과 재차 통화를 하고 도교육청이 관련 조치를 보류하기로 했다는 사실을 전달받았다.
앞서 임 교육감은 이날 오전 10시 반경 도교육청 기자실을 찾아 경기도교육청이 학교급식 식재료 공급 계약 시 동일 업체와의 수의계약을 연간 5회로 제한하는 내용을 보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