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의 광복절 사면·복권 가능성이 커지면서 전북 정치권이 "내년 지방선거의 최대 변수가 될 것"이라며 술렁이는 모습이다.
11일 전북 정치권에 따르면 법무부가 지난 7일 정부과천청사에서 개최한 사면심사위원회에서 조국 전 대표가 이재명 정부의 첫 사면 심사를 통과했다.
광복절 특사 최종 사면 명단은 이날로 예정된 임시 국무회의에서 심의·의결을 거쳐 확정될 예정인데 전북 정치권은 조 전 대표의 사면·복권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앞서 김선민 혁신당 대표 권한대행은 지난달 중순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과 진행한 비공개 면담에서 "정치검찰 피해자의 회복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전달하며 사실상 조 전 대표의 사면을 우회적으로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북 출신의 한준호 민주당 최고위원도 최근 한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정치인 사면은 별도의 고려를 하지 않을까 싶다"고 말하기도 했다.
지역 정가에서는 조국 전 대표가 사면·복권될 경우 내년 전북 지방선거가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의 본격적인 첫 경쟁무대가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점치고 있다.
'공천이 곧 당선'인 민주당의 텃밭 전북에서 혁신당이 단체장 후보를 내고 조국 전 대표가 전북 유세전에 가세하는 등 활동반경을 넓혀갈 경우 전북 지방선거 판을 뒤흔드는 최대 상수가 될 것이란 분석이다.
실제로 지난 22대 총선의 비례대표 투표에서 조국혁신당은 전북에서 45%의 높은 지지율을 기록한 반면 민주당은 38%대에 만족해 상당한 격차를 나타냈다.
당시 전북은 민주당 10명의 후보에게 총 81만8200표를 몰아주는 등 투표인수(102만2300표) 대비 80%를 민주당 후보에 몰아주는 등 '묻지마 몰표' 현상을 보였다.
그럼에도 전북지역 비례대표 정당지지율만 보면 더불어민주당이 37.6%로 혁신당(45%)에 크게 못미쳤고 전주와 익산 군산 등 주요 3시는 33~39%의 박스권을 형성하는 등 전북 민심은 당 후보를 지지하면서도 민주당에는 강한 경고성 레드카드를 꺼내들었다.
비상계엄과 대통령 탄핵, 21대 대선 국면에서 '집 나간 민주당 표'가 다시 돌아오는 등 전북 내 민주당 재결집 현상을 보이는 상황에서 조국 전 대표의 사면·복권은 향후 선거판을 뒤흔드는 쓰나미급 변수가 될 수 있을 것이란 기대와 우려가 엇갈리고 있다.
전북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조국 전 대표의 사면은 내년 지방선거를 10개월 가량 앞둔 전북의 선거판을 조기에 달구는 상수로 작용한 것"이라며 "이미 일부 지역은 혁신당 후보의 공세가 눈에 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조국혁신당이 도지사 후보까지 영입하며 대대적인 공세에 나설 경우 차기 지방선거는 민주당과 혁신당이 더 좋은 정책과 더 새로운 인물로 맞붙는 진보진영의 생산적 경쟁이 치열해질 수 있다"며 "민주당의 공천도 본선 경쟁력에 주안점을 둬 신중하게 진행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국혁신당 전북도당은 조 전 대표의 사면이 현실로 다가올 경우 인재영입을 위한 발걸음을 빨리하며 본격적인 지방선거 체계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전주와 익산, 군산 등 주요 지역의 기초단체장 후보군에 중량감 있는 후보를 내놓는 등 '환상의 라인업'을 완성할 경우 민주당 독주에 피로감을 느끼고 있는 민심을 자극할 수 있을 것이란 관측이 벌써 흘러나온다.
정치권의 다른 관계자는 "민주당 후보는 경선과 본선에서 두 번 싸워야 하는 이중고를 겪는 반면 혁신당 후보는 본선만 집중하면 된다는 점에서 양당 모두 선거전략을 치밀하게 짜야 할 것"이라며 "더 좋은 정책과 더 나은 후보가 누구이냐는 경쟁을 앞두고 정치 신인의 영입도 활발해질 수 있어 정치의 효능감을 높일 새로운 선거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