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가 인공지능(AI)과 로봇을 결합한 ‘동물복지형 스마트 미래목장’ 구축에 나선다.
축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지속가능한 낙농 모델을 결합한 시도로, 생산·교육·연구 기능을 아우르는 융합형 플랫폼이 목표다.
전북자치도 축산연구소는 기존 한우 축사를 리모델링해 저지종 젖소를 사육하는 AI·로봇 기반 목장으로 전환하는 사업을 추진한다고 11일 밝혔다. 총면적 3368㎡ 규모로, 15억 원이 투입된다. 이달 실시설계에 착수해 11월 착공, 2026년 4월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목장에는 젖소의 행동 자유와 휴식을 보장하는 프리스톨 형태 우사, 착유실, 교육장, 운동장 등이 들어선다. AI·로봇 기반 ICT 장비 7종 10대가 단계적으로 도입되며, 2026년에는 농후사료 급이기와 송아지 자동포유기, 2028년에는 로봇착유기·분변청소기·풀사료 정리로봇 등 완전 자동화 시스템이 갖춰진다.
연구소는 수정란 이식과 인공수정을 통해 2030년까지 착유우 50두를 확보하고, 국내 유일의 낙농 전문 경영실습장으로도 운영할 계획이다. 매년 160명 규모의 교육생을 대상으로 ICT 기반 낙농경영, 번식기술, 동물복지, 저탄소 축산 등 6개 과정을 개설해 차세대 낙농 인재를 양성한다.
또한 서울대, 풀무원, 라트바이오 등과 공동연구를 추진해 자동화 시스템 검증, 기후적응형 유익 미생물 발굴, 저지 원유의 의약품 소재화 연구 등 기술 개발도 병행한다.
민선식 전북도 농생명축산산업국장은 “미래목장은 지속가능성과 기술혁신을 동시에 갖춘 새로운 축산 모델”이라며 “농가와 지역사회, 연구기관이 함께 성장하는 협력형 플랫폼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