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는 내일(14일)까지 예보된 호우에 대비해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 비상 1단계를 가동, 비상 대응체제에 돌입했다고 13일 밝혔다.
기후변화로 국지성 호우와 돌발성 강우가 일상화되면서 사후 대응이 아닌 선제적 조치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다.

인천시는 유관기관과 협력해 △하천 △지하차도 △산사태 위험지역 △옹벽 등 인명피해 우려가 큰 취약시설에 대해 사전 통제를 강화, 만일에 사태에 대응하고 있다.
특히 상습 침수지역과 반지하주택 밀집지, 인명피해 우려 지역을 중심으로 예찰을 강화하고 있으며 지난 6~7월 침수 피해가 발생했던 지역에 대해서는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해 현장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시는 이날 13일 오전부터 내일(14일) 새벽까지 강한 비가 집중될 것이란 기상청 예보에 따라 이날 새벽 4시 15분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 비상 1단계를 가동하고 하천변 산책로 12개소 등 침수 위험지역을 통제했다.
또한 군·구에서는 위험징후시 긴급재난문자, 마을방송, 민방위경보시설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해 신속한 상황 전파와 주민 안내에 나설 계획이다.
아울러 여름휴가철을 맞아 야영장과 펜션 등 행락지 안전관리도 한층 강화하고 있다. 계곡 등 위험지역 인근 숙박·야영시설에 대해 출입 통제와 대피 안내를 병행하고 현장 점검을 통해 실효성 있는 조치를 지속적으로 추진 중이다.
시는 이번 호우 대응의 기본 원칙으로 ‘선제 대응'을 강조하고 있다. 사후 수습보다는 한 발 앞선 예방만이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다는 인식을 전 부서와 공유하고 있으며 ‘예방이 곧 생명 보호’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현장 대응에 집중하겠다는 방침이다.
윤백진 시 시민안전본부장은 “재난 예방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면서 “산사태우려지역과 상습 침수지역 그리고 지난 6~7월 피해가 발생했던 지역 등에 대해 철저한 예찰과 통제를 통해 자연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사전에 차단해 달라”라고 당부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