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교육청 감사관 채용비위 사건으로 전 교육청 인사팀장이 실형을 선고받은 것과 관련해 지역 시민·교육단체들이 이정선 광주시교육감의 사퇴를 촉구하고 나섰다.
특히 단체는 이정선 광주교육감이 이번 사안의 핵심에 있으면서도 제3자처럼 행세하며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13일 38개 단체로 구성된 '광주교육의 정상화를 촉구하는 단체 일동'은 광주시교육청 입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정선 교육감은 고교동창 채용과정에서 거짓 해명과 책임전가로 사태를 키웠다"며 "책임지는 방법은 사퇴뿐"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삼원 광주교사노조 위원장은 "교육청 CM송에서는 '청탁은 노노, 청렴은 예예'라고 홍보하지만, 진정한 광고는 청렴하면 되는 것"이라며 "이번 사태의 문제는 동창 채용 자체보다 대응과정에서의 거짓말과 책임회피"라고 지적했다.
단체들은 "취임 초기부터 특정 인맥 중심으로 교육행정이 이뤄졌음이 밝혀진 것이 매우 충격적"이라며 "사무관 개인의 일탈로 몰아가는 '꼬리 자르기' 의혹이 크다"고 주장했다.

같은 날 9개 단체로 구성된 '광주교육시민연대'도 시교육청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감사관은 청렴의 최후 보루인데, 채용과정에서 담합과 조작이 드러났다"며 "단순 인사 문제가 아닌 광주교육의 공정성과 청렴성을 뿌리째 흔든 중대 비리"라고 비판했다.
김경희 광주교육시민연대 상임대표는 "재판부가 지적했듯 채용을 총괄한 인사팀장이 부당 개입하고, 수사 전 4급 승진을 요청한 사실은 기가 막힐 노릇"이라며 "일개 사무관이 모든 것을 지시·실행할 수 없음에도 교육감은 단 한마디 사과도 없이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종민 공동대표는 "교육청에서 청렴 관련 공문과 메시지를 보내는데 학교 현장에서는 '교육청만 청렴하면 된다'는 조소가 나온다"며 "시민사회가 제안한 타운홀 미팅조차 거절한 교육감이 열린 행정을 할 의지가 있는지 의문"이라고 꼬집었다.
시민연대는 이날 최승복 부교육감에게 항의 서한과 타운홀 미팅 취소에 대한 유감의 뜻을 전달했다.

앞서 광주지법 형사5단독 지혜선 부장판사는 이정선 교육감의 고교동창을 감사관으로 채용하는 과정에서 허위공문서 작성·행사, 공무상 비밀누설,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기소된 전 인사팀장 최모씨(55)에게 징역 1년 6개월을 선고했다.
이 교육감은 같은 날 사과문을 내고 "광주교육을 책임지는 사람으로서 사법부의 판단을 존중하며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며 "사건 후 면접위원을 전원 외부위원으로 구성하는 등 채용절차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강화했다"고 밝혔다.
반면 광주교사노조와 전교조 광주지부는 성명을 내고 "부하직원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유체이탈식 사과"라며 "교육감이 직접 진실을 밝히고 책임 있는 행동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