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는 이재명 정부의 국정 방향과 과제를 담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 광주의 핵심 공약이 대거 연계됐다고 13일 밝혔다. 국정과제는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성격을 갖는 국정기획위원회가 이날 국민보고대회를 통해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민선 8기 동안 준비해 온 광주의 지속가능 성장 전략을 정부 지원과 함께 본격 추진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특히 제1호 국정과제인 ‘진짜 대한민국을 위한 헌법 개정’에는 5·18민주화운동 정신의 헌법 전문 수록이 포함됐다.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 과정에서 약속한 광주지역 7대 공약은 ▲인공지능(AI) 국가 시범도시 조성 ▲민·군 통합 서남권 관문공항 조성 ▲대한민국 대표 모빌리티 도시 ▲아시아문화중심도시 3.0 ▲영산강·광주천 수변 활력도시 ▲국가 초고자기장 연구인프라 구축 ▲호남권 메가시티 조성 등이다. 이들 공약은 분야별 국정과제와 연계돼 차질 없이 추진될 예정이다.
광주광역시는 대선 전부터 지역 발전 전략을 속도감 있게 마련해왔다. 대통령 탄핵 인용 후 불과 나흘 만에 '광주발전 전략'을 수립해 각 정당 대선캠프에 전달, 주요 공약으로 채택되도록 했다.
대선 이후에는 '대선공약 서울상황실'을 운영하며 대통령실·국정위·중앙부처·국회 등과의 네트워크를 강화했고,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 지역 현안 사업을 반영하기 위한 설득 작업을 이어왔다.
이 과정에서 국정위 자문위원으로 활동한 안도걸(동남을), 박균택(광산구갑) 의원, 국회 상임위에서 적극적으로 의정활동을 펼친 정진욱(동남갑), 조인철(서구갑), 양부남(서구을), 정준호(북구갑), 전진숙(북구을), 민형배(광산구을) 의원의 역할도 두드러졌다.
강기정 시장도 대통령실을 방문해 정책실장, AI수석을 만나 광주가 가진 강점을 설명하며 인공지능(AI), 통합공항, 모빌리티 등 현안 건의를 했다. 또 국정위원장을 만나 광주발전 계획(프로젝트)의 국정과제 반영에 전력했다.
강 시장은 "이재명 대통령의 호남에 대한 애정을 감안할 때, 광주의 지역공약은 충분한 타당성과 설득력을 갖추고 있다"며 "정부와 긴밀히 소통해 시민들에게 약속한 공약이 성과로 이어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광주는 민주주의의 상징에서 미래 산업과 균형발전의 선도 도시로 도약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국정기획위원회는 대통령 직속 국가미래전략위원회로 전환돼 국정과제와 미래전략을 총괄하며, 지역공약과 '우리동네공약'은 지방시대위원회로 이관돼 이행될 예정이다.
전체댓글 0